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내용 바로가기
한강유역환경청모바일배경이미지 야생동물의 생명과 건강보호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
함께합니다.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 SNS
알림판
환경부 중앙환경분쟁조정피해구제위원회  국민들의 환경권 보호를 위해 환경피해구제 연계서비스가 시행됩니다  건강피해조사 + 분쟁조정 + 피해구제
2025년 APEC 정상회의 우리가 만들어 가는 지속 가능한 내일 연결, 혁신, 번영
환경부 bluesky2025.kr 푸른 하늘 콘텐츠 공모전 2025.06.12(목) ~ 07.18(금)
화학물질등록평가법 위반 자진 신고하세요 신고기간: 2025년 2월 28일 ~ 2025년 10월 27일 신고기관: - 등록 및 변경등록 : 화학물질안전원(032-560-8672) - 사전신고: 한국환경공단(02-6050-1311)
2025 토양·지하수 어린이 여름캠프 2025.07.30(수)-08.01(금) - 참가비 무료 - zoom 생방송 접수일정 : 2025.06.30(월) ~ 2025.07.11(금) 환경부 KEITI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환경부 AI기반 기후·환경 혁신 아이디어 공모전  국민과 환경부가 함께 만든 AI 혁신 아이디어로 똑똑하게 일하겠습니다. 공모전 상세 안내
홍보동영상

카드뉴스
아프리카돼지열병(ASF) 확산을 차단하기 위해서 수렵인의 적극적인 오염예방활동 참여가 매우 중요합니다. 아프리카 돼지열병 오염 예방을 위한 수렵인 행동요령 환경부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
수렵전 1.세탁된 의복 및 수렵복 착용 2.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지역 파악※야생동물질병관리시스템에서 확인 3.수렵과방역에 필요한 물품적재(총기,소독재,생석회,비닐 등)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지역 하단 지도 발생지역 확인 : 야생동물질병관리시스템(구글 검색)
수렵중 1.엽견이 사살된 멧돼지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통제 2.비닐을 깔아 주변으로 혈액오염 방지 후 사진촬영 및 GPS 좌표 기록 3.칼과 주사기 등을 이용하여 시료채취 후 멧돼지는 원칙적으로 비닐로 밀봉 ※멧돼지 한 마리 당 칼과 주사기는 한번만 사용(칼은 철저한 소독 후 재사용 가능하나 주사기는 재사용 금지) 4.수렵지점 및 시료 채취 지점 소독 조치(액상 및 생석회 후 출입금지 테이프로 표시) 5.밀봉한 사체를 들것 등 운반도구를 이용해 이송(사체는 혈액 등 오염물질이 새지 않도록 두꺼운 비닐로 밀봉 조치) 6. 수렵과정에서 발생한 쓰레기는 별도의 비닐에 담아 겉을 소독하여 폐사체 집하장으로 운반 ※수렵 중 멧돼지 폐사체를 발견한 경우 손대지 말고 시군 환경과로 즉시신고(GPS 좌표확인 및 사진촬영)
수렵후 1.적재함에 비닐을 깔고 밀봉된 사체를 싣기 2.현장대응복(옷,신발) 및 장비(총기) 소독 3.폐사체이송 전 후 적재함,엽견케이지, 바퀴, 차량 실내 발판 등 소독 4. 엽견소독(발: 소독제 분무, 얼굴: 부드러운천에 소독제 묻혀 세척) 5. 수렵에 사용했던 옷, 모자, 장갑, 수건, 신발 등은 귀가 후 즉시 세탁 6. 수렵한 멧돼지 양성여부 확인되기 전까지 엽사는 농장 방문금지 및 엽견은 타지역 수렵활동 금지(시군 환경과를 토앻 확인) ※양성으로 확인될 경우 차량과 엽견, 장비등을 철저히 소독하고 7일 이상 수렵견 수렵활동 금지
수렵물품 구분 물품상세 순 방역 보호: 방역복, 마스크, 장갑, 장화 소독:생석회, 분무형 소독제, 소독제 분무기, 기타:두꺼운 비닐, 접근금지 테이브 운반:들것, 밧줄 시료채취:시료채취키트, 칼, 주사기 기타:GPS,랜턴
수렵중 오염 요인 수렵개채 부정 신고는 처벌 및 과태료 부과 대상 ※ 유전자 분석을 통해 부정신고 감별이 가능 ※ 부정 신고 및 양성 폐사체 이동 조치는 오염의 인위적 확산과 방역 대책 혼란 등 부작용 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