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컨텐츠 화면

- 질병정보
- 폐사체 발견 시 대응절차
질병정보
폐사체 발견 시 대응절차
Ⅰ 멧돼지 아프리카돼지열병
-
예찰 지침
-
방역복
-
소독제
-
매몰방법
예찰 지역
- 산림, 구릉 등 멧돼지의 주서식지
- 도심주변을 포함한 멧돼지의 주요 출몰 지역
- 멧돼지와 사육돼지의 접촉이 예상되는 지역
예찰 방법
멧돼지 흔적 확인
- 관리지역 주변의 산림 및 산림과 접한 농경지 집중 예찰
- 멧돼지는 산림이 우거진 지역의 평탄한 곳에 주로 배설을 하므로 산림내 평평한 지역을 유심히 관찰 - 임도를 중심으로 이동하되 필요시 멧돼지가 주로 이용하는 능선을 따라 예찰 수행
- 산림지역은 낙엽이 많이 쌓인 곳 또는 작은 물 웅덩이의 흙이 파헤쳐져 있는지의 유무 확인
- 낙엽이 많은 곳에 멧돼지 먹이인 지렁이 등의 생물이 서식하므로 멧돼지 먹이원 주변의 활동 흔적 유무 확인
- 진흙 많은 얕은 물울덩이는 목욕장소로 이용하므로 족적 등 확인 - 산림과 밀접한 농경지 중 멧돼지가 좋아하는 옥수수, 고구마, 벼 등의 농작물이 심겨진 곳을 집중 관찰
- 멧돼지 피해를 입은 벼, 옥수수 등은 농작물이 무질서하게 쓰러져 있고 고구마 경작의 경우, 땅이 뒤집혀 있어 쉽게 피해 확인 가능
※ 예찰시 지역주민 의견 적극 청취
멧돼지 흔적을 중심으로 폐사체 유무 확인
- 멧돼지 족적, 배설물 흔적, 농작물 피해, 임간의 멧돼지 비빔목, 진흙목욕탕, 땅을 파헤친 흔적 등이 확인된 경우 흔적을 중심으로 사체 혹은
이상 징후 개체가 있는지 면밀히 관찰
※ 사진과 함께 흔적의 종류, 새로운 흔적인지 여부, 위치정보 등 기록
- 멧돼지 교란을 최소화하여 감염된 멧돼지가 이동하지 않도록 유의하여 조사 실시
주의 사항
- ASF 감염 의심개체의 장거리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조사시 멧돼지 행동 개체군에 교란을 주는 행위 등을 최소화
- 조사 지점마다 장화를 씻고 소독하거나, 1회용 신발 커버를 교체하고, 폐사체 또는 의심개체 발견시 즉시 보고
- ASF로 의심되는 폐사체가 발견된 경우, 방역복·방역장화·방역 마스크, 일회용 라텍스장갑 등 방역장비를 착용
- 예찰 후 신발·손 소독 등 개인소독을 실시하고, 차량의 바퀴, 외부 및 내부바닥 등 차량 내·외부 소독 철저
- 관리지역에서의 수렵견 사용 절대 금지
행정 사항
- 멧돼지 폐사체 또는 이상개체 발견 시
- 발견 즉시 신고, 위치정보 전송(GPS 좌표 저장, 주변 환경 사진, 주소 등)
- 신고 후 현장에서 외부인의 접근을 통제하고 철저한 소독 실시
-
행동요령
접근 금지, 작업도구
접촉금지 및 발견지점
파악 기록 -
즉시 신고
야생동물질병관리원
신고
(032) 560-7141~51 -
신고 후 행동요령
소독(차량ㆍ도구ㆍ의복) 및
3일간 농장ㆍ도축장ㆍ돈육
가공장 출입금지
- 멧돼지 족적, 배설물, 농작물 피해 등 발견 시
- 특이사항은 별도로 기록, 보관
서식흔적 | 기록사항 | 비고 |
---|---|---|
족적 | 족적크기, 족적수 등 | - |
배설물 | 배설물 양, 배설물 분포 등 | - |
땅 파헤침 | 땅 파헤침의 길이, 깊이, 분포 등 | - |
농작물 피해 | 농작물 종류, 피해면적 등 | - |
※ 멧돼지 서식흔적 주소는 정확히 기록, 주소가 불분명 할 경우 찾기 쉬운 중요지점을 기록
- 예찰 종료 후 일일 메모보고를 작성*, 국립환경과학원·국립생물자원관으로 전송
* 발생·의심신고 지역 관할 환경청의 경우 반드시 작성하여 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