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내용 바로가기
  • home
  • 지역마당
  • 생태우수지역
  • 철원 용양보
  • 소개
  • 자연생태
자연생태

철원 용양보 습지의 자연생태

철원 용양보 습지의 자연생태-지형, 생물종, 보호종에 대한 내용입니다
지형 인위적으로 설치된 용양보로 인하여 상류에는 퇴적으로 형성된 호소성 습지가 발달 되었고, 하류에는 하천형 습지, 하천 주변으로 논이 있어 다양한 습지 유형이 혼재되어 있다.
생물종

· 식물(211종), 동물(484종) 등 총 695종 서식

※ (출처) 동·식물 : 2019 제4차 전국내륙습지 정밀조사(‘19)

보호종

· 멸종위기 야생생물(삵, 분홍장구채 등)

· 천연기념물(원앙, 수달 등)

철원 용양보의 주요 동·식물

  • 수달(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 천연기념물 제330호)

    수달(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 천연기념물 제330호)

    · 성체의 경우 몸통의 길이 65-110cm 정도이고 몸은 수중 생활을 하기에 알맞게 발달되었다. 하천이나 호수가에 살며, 물가에 있는 바위 구멍 또는 나무뿌리 밑이나 땅에 구멍을 파고 산다. 야행성이며 시각, 청각, 후각이 발달했다.

  • 삵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삵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 고양이과 포유류로 고양이보다 크며, 털의 부정확한 반점이 특징이다. 먹이는 설치류, 조류, 곤충 등 다양하게 잡아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산림의 계곡과 암석층 가까운 곳에 산다. 야행성 동물로 은신처는 땅의 구멍이나 나무뿌리 사이에 충분한 공간을 이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묵납자루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묵납자루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 몸길이는 6-8cm이며, 몸은 좌우로 납작하고 체고는 높다. 하천 중·상류에 서식하며 비교적 유속이 완만하고 하상이 큰 돌과 자갈로 이루어진 소와 같은 곳을 선호한다. 수질 환경 변화에 민감한 종으로 산란숙주조개의 감소에 큰 영향을 받는다.

  • 구렁이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구렁이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 국내에 서식하는 뱀류 중 가장 크다.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에 분포하며 인가 주변에서 발견되기도 하였다. 몸 길이는 110-200cm 정도이다. 개체에 따라 체색의 변이가 심하다. 다람쥐 등의 설치류를 비롯하여 조류와 양서류까지 잡아먹으며, 11월부터 산 사면의 땅속, 바위틈, 돌담 등에서 동면한다

  • 붉은배새매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천연기념물 제323-2호)

    붉은배새매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천연기념물 제323-2호)

    · 우리나라 여름철새로 가슴과 배는 옅은 회색을 띤 황갈색 내지는 회색을 띤 붉은색이다. 부리는 검은색이며 다리는 황색이고, 발톱은 검은색이다. 수컷의 홍채는 어두운 붉은색이고 암컷의 홍채는 황색이다. 5월경에는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관찰되며 평지, 농가, 인가 주변의 숲에서 서식한다.

  • 분홍장구채(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분홍장구채(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 석죽과 여러해살이풀로 식물이다. 10~11월경에 분홍색 꽃이 핀다. 산지의 양지바른 바위틈에 나며, 우리나라의 중부 이북에 자생한다. 장구채속 식물 중 드물게 머리모양꽃차례를 갖는 특징이 있다. 무분별한 채취에 의해 위협받고 있다. 현재 한국적색목록에 멸종위기범주인 취약종(VU)으로 평가되어 있다.
    ※ (내용·사진 출처) 국립생물자원관(2018), 한눈에 보는 멸종위기 야생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