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전체보기

자주찾는 메뉴메뉴   선택   후   저장   버튼을   눌러주세요(최대   6개   지정)

  • 정보공개
  • 국민소통
  • 법령·정책
  • 발행물
  • 알림·홍보
  • 기관소개

보도·설명

  • 홈으로
게시물 조회
다이옥신, 환경 중 농도 지속 감소
  • 등록자명
    석광설
  • 부서명
    국립환경과학원
  • 연락처
    032-560-7206
  • 조회수
    4,554
  • 등록일자
    2005-09-21
- 제6차년도 내분비계장애물질 조사·연구사업 결과 - ◇ 대기 중 다이옥신의 평균검출농도는 5년전의 40%수준으로 감소 ◇ 붕어, 황소개구리의 이성생식세포 출현율은 외국 비오염지역과 유사한 수준 ◇ 금년 7차년도 조사·연구 사업에서 시흥, 안산 등 주요 배출원 지역에 대한 상세조사를 실시할 예정 ■ 환경부와 국립환경과학원은 내분비계장애물질 중장기사업계획의 일환으로 10개년 계획(1999~2008)으로 추진 중인 내분비계장애물질 제6차년도 연구사업을 조사·분석하였다. ◦ 이번 조사는 ’04. 3월~’05. 7월동안 전국 129개 지점(수질 41, 저질 15, 토양 38, 대기 35 지점)을 대상으로, 다이옥신 등 내분비계장애물질의 환경 매체 중 잔류농도와 20개 지점에서 채취한 붕어·황소개구리의 생태영향을 분석하였다. ■ 소각시설, 제철소의 공장굴뚝에서 발생하는 대표적인 발암물질인 다이옥신의 환경 중 농도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일본 대기환경기준인 0.6 pg-TEQ/S㎥을 초과하는 지역도 감소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 일본 대기환경기준 초과지역: 4개소(’02) → 3개소(’03) → 1개소(’04) ◦ 내분비계장애물질의 생태계 영향을 알아 볼 수 있는 암·수 생식기를 동시에 가지는 이성생식세포의 출현율은 외국의 비오염지역과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 국내(어류 2.5~12.5%, 양서류 2.5~7.5%), 외국(어류 4-18%, 양서류 2-4%) ◦ 수컷의 암컷화 지표인 붕어의 혈중 비텔로제닌이 10㎍/mL를 초과한 개체수 비율도 2년 연속 감소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 개체수 비율: 14.4%(’02) → 8.5%(’03) → 2.6%(’04) <환경잔류실태조사 결과> ◦ 조사대상물질 67개 물질 중 46개 물질이 1개 이상의 환경매체에서 검출되었으며, 과거 5년간의 조사결과와 비교할 때 검출물질 수는 증가한 반면, 검출지점 수 및 잔류농도는 유사하거나 낮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 2003년도와 비교하여 검출물질수가 증가하였으나 검출된 물질의 대부분은 토양에서 국지적으로 미량이 검출되는 수준이었음 ◦ 특히, 다이옥신의 평균 검출농도는 작년과 비교하여 모든 매체에서 감소하였으며, 그간 조사결과와 비교해 볼 때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환경부와 국립환경과학원은 내분비계장애물질 중장기사업계획의 일환으로 10개년 계획(1999~2008)으로 추진 중인 내분비계장애물질 제6차년도 연구사업을 조사·분석하였다. ◦ 이번 조사는 ’04. 3월~’05. 7월동안 전국 129개 지점(수질 41, 저질 15, 토양 38, 대기 35 지점)을 대상으로, 다이옥신 등 내분비계장애물질의 환경 매체 중 잔류농도와 20개 지점에서 채취한 붕어·황소개구리의 생태영향을 분석하였다. ■ 소각시설, 제철소의 공장굴뚝에서 발생하는 대표적인 발암물질인 다이옥신의 환경 중 농도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일본 대기환경기준인 0.6 pg-TEQ/S㎥을 초과하는 지역도 감소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 일본 대기환경기준 초과지역: 4개소(’02) → 3개소(’03) → 1개소(’04) ◦ 내분비계장애물질의 생태계 영향을 알아 볼 수 있는 암·수 생식기를 동시에 가지는 이성생식세포의 출현율은 외국의 비오염지역과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 국내(어류 2.5~12.5%, 양서류 2.5~7.5%), 외국(어류 4-18%, 양서류 2-4%) ◦ 수컷의 암컷화 지표인 붕어의 혈중 비텔로제닌이 10㎍/mL를 초과한 개체수 비율도 2년 연속 감소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 개체수 비율: 14.4%(’02) → 8.5%(’03) → 2.6%(’04) <환경잔류실태조사 결과> ◦ 조사대상물질 67개 물질 중 46개 물질이 1개 이상의 환경매체에서 검출되었으며, 과거 5년간의 조사결과와 비교할 때 검출물질 수는 증가한 반면, 검출지점 수 및 잔류농도는 유사하거나 낮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 2003년도와 비교하여 검출물질수가 증가하였으나 검출된 물질의 대부분은 토양에서 국지적으로 미량이 검출되는 수준이었음 ◦ 특히, 다이옥신의 평균 검출농도는 작년과 비교하여 모든 매체에서 감소하였으며, 그간 조사결과와 비교해 볼 때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