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전체보기

자주찾는 메뉴메뉴   선택   후   저장   버튼을   눌러주세요(최대   6개   지정)

  • 정보공개
  • 국민소통
  • 법령·정책
  • 발행물
  • 알림·홍보
  • 기관소개

보도·설명

  • 홈으로
게시물 조회
환경오염의 건강영향에 관한 한·중 공동연구 수행
  • 등록자명
    유승도
  • 부서명
    유승도
  • 연락처
    032-560-7173
  • 조회수
    6,552
  • 등록일자
    2003-05-09
■ 국립환경연구원(원장: 이덕길)은 중국환경과학연구원과 환경오염의 건강영향에 대한 공동조사연구를  수행하기로 하고, 금년부터 실질적인 조사를 시작하였다. 이는 제 7차 한·중환경협력 공동위원회의(2001. 3. 22)에서 합의된 것으로, 작년의 예비조사에 이어 금년 3월 황사현상 발생시기를 맞추어 조사연구 활동을 개시하게 된 것이다.
■ 주요 연구내용은 대기오염이 폐활량에 미치는 만성적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서 황사 등 대기오염이 심한 북경시의 옹화궁초등학교와 대기오염 이 비교적 덜한 성도시의 서안로초등학교 3, 6학년 학생 각 100명 의 폐활량과 그 관련요인을 측정, 조사하는 것과, 특히, 북경의 옹화궁 초등학교 학생의 경우에는 3.23- 5.3일 까지 40일간 매일 대기 중 미세먼지 (PM10, PM2.5)와 초등학생의 최고호기유량(폐활량 지표의 하나)을 측정하여 대기 중 미세먼지가 폐활량에 미치는 급성적 영향의 정도를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립환경연구원 전문가들이 3.18-3.29일 동안 현지에서 공동조사를 하였고, 이어 중국환경과학 연구원의 연구원들이 이 조사를 계속(3.23-5.3)하고 있다. 이 사업의 추진과 관련하여, 현재 중국환경과학연구원의 과학자 1인이 국립환경 연구원에서 파견되어 공동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 폐활량 조사항목은 노력성폐활량*, 일초량**, 최고호기유량**으로서, 폐활량측정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북경 옹화궁초등학교 학생의 40일간 최고호기유량 측정의 경우에는 학생 100명 모두에게 최고 호기유량계 (휴대용)를 배포하여 우리나라 전문가들에게 측정방법을 지도 받은 담임교사의 지시 하에 학생들 스스로 40일간 매일 측정하고 있다. 미세먼지(PM10, PM2.5)의 측정은 미세먼지포집기를 이용하여 중국환경과학연구원의 연구원들이 최고호기유량의 측정기간 동안 매일 측정하고 있고 있다. 추가적으로 초등학생의 요 시료를 채취하여 대기오염이 폐활량에 미치는 영향의 분석결과의 해석에 필요한 대사물질을 정밀분석한다.
■ 이 연구가 수행되면 우리나라의 울산, 여천 등에서 조사해 온 기존의 자료들을 활용하여 국내 초등학생들의 폐활량과 비교분석이 가능할 것이고, 또한 대기오염이 폐활량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노력성 폐활량: 노력성 호기방법으로 가능한 한 최대한 공기를 들어마신 후 최대한 빠르고 세게 불어낸 공기 양(L).
**일초량: 노력성 호기방법으로 공기를 불어낼 때 처음부터 1초간 불어낸 공기 양(L).
**최고호기유량: 노력성 호기방법으로 노력성 폐활량을 측정할 때 최고로 빠른 호기의 유량(L/sec)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