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 국립공원공단, 기후변화에 따라 변해가는 생물종 관찰 결과 공개
▷ 시민과학자 참여로 국민과 함께하는 기후위기 인식 기반 마련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이사장 주대영)은 국립공원 내 산림과 무인도서에서 장기간 생물계절*을 관찰한 결과, 개구리와 새 등의 산란 시기가 점점 앞당겨지는 등 기후변화의 뚜렷한 징후가 확인되었다고 밝혔다.
* (생물계절) 계절적인 변화에 따라 동식물이 나타내는 현상의 시간적 변화
주요 생물상 변화 관측(모니터링)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리산국립공원에서는 큰산개구리*의 첫 산란 시기를 15년간 관찰한 결과 18일 가량 앞당겨졌으며, 한려해상국립공원 홍도의 괭이갈매기 역시 산란 시기가 평균 6.5일 빨라졌다.
* 기후변화지표종 중 하나로 한반도, 제주도, 일본 쓰시마섬 등에 분포하며 산란 시기는 3~5월
설악산국립공원에서는 신갈나무의 잎이 나무에 매달린 착엽 기간이 최근 10년(2015~2024년) 동안 평균 152일로 나타나, 2015년에 비해 2024년에는 약 48일 더 길어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전반적으로 동물과 식물 모두에서 생물계절 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난 것이다.
이 같은 변화는 단순한 기온 상승에 머물지 않고 외부환경 변화에 따른 ‘자연의 시계(생물시계)’에 혼란을 주어 먹이사슬과 같은 종 간 관계 등 자연생태계에 예측하지 못한 영향을 초래할 수 있는 중대한 지표이다.
예) 조류의 산란 시기가 앞당겨지면 곤충이 활동하지 않아 어린개체가 먹이부족으로 생존율 저하 발생
이번 관찰은 전문 연구자뿐 아니라 시민과학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로 이루어져 의미가 크다. 시민과학자들이 전국 각지에서 직접 관찰 자료를 수집·기록하여, 국민이 기후위기를 몸소 느끼고 공감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 환경·생태계 조사 등의 연구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전문가와 협업하여 활동하는 일반 대중을 뜻함
주대영 국립공원공단 이사장은 “지속적인 생태 관측과 정보 분석을 통해 기후변화로 인한 생물계절 변화를 정밀하게 파악하고, 국민 참여형 관측과 환경교육을 확대하는 한편, 생태계 영향 관측을 통해 기후위기 대응에 필요한 관리 대책을 마련하여 국립공원 생태계를 보전하겠다”라고 밝혔다.
붙임 1. 생물계절 장기변화관찰 모니터링 개요.
2. 지리산국립공원 큰산개구리 첫 산란 관찰결과.
3. 한려해상국립공원 등 괭이갈매기 연도별 첫 산란일 관찰결과.
4. 설악산 등 3개 국립공원 연도별 착엽기간 변화.
5. 시민과학자 참여 모니터링 개요.
6. 관련 사진.
7. 질의 응답.
8. 전문용어 설명.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