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전체보기

자주찾는 메뉴메뉴   선택   후   저장   버튼을   눌러주세요(최대   6개   지정)

  • 정보공개
  • 국민소통
  • 법령·정책
  • 발행물
  • 알림·홍보
  • 기관소개

보도·설명

  • 홈으로
게시물 조회
뉴트리아 등 주요 생태계 교란 외래종 전국적 확산 추세
  • 등록자명
    길지현
  • 부서명
    국립환경과학원
  • 연락처
    032-560-7585
  • 조회수
    2,770
  • 등록일자
    2011-06-01


뉴트리아 등 주요 생태계 교란 외래종 전국적 확산 추세


 ◇ 뉴트리아는 낙동강 일대에서 증가 추세이고, 우리나라 주요 호수는 큰입배스 등 외래어종이 점령하고 있음

 ◇ 생태계교란식물 11종 중 가시박, 단풍잎돼지풀, 미국쑥부쟁이 등은 전국적 확산추세



□ 국립환경과학원의 2010년 생태계교란종 모니터링 결과, 서식처 유형별 확산정도에 따라 관리방법을 구분하여 적용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생태계교란종 16종의 전국 주요 분포지를 생태계 유형에 따라 구분하고 각 분포면적, 확산양상 등의 정량적 모니터링 방식을 도입하여, 도로와 하천변을 따라 선형 또는 면형으로 161개 조사지역 전면 조사

   ※ 생태계교란종(16종): 황소개구리, 붉은귀거북, 큰입배스, 파랑볼우럭, 뉴트리아, 돼지풀, 단풍잎돼지풀, 서양등골나물, 도깨비가지, 털물참새피, 물참새피, 가시박, 서양금혼초, 미국쑥부쟁이, 양미역취, 애기수영


□ 생태계교란야생동물 모니터링 주요 결과

 ○ 황소개구리는 전국 16개 조사지역에서 성체와 유생(幼生)을 합하여 총 1,001개체가 관찰되었다. 경상남·북도에는 과거에 비해 줄어드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충청남도 및 전라도에서는 현재까지 많은 개체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기존 16개 모니터링 지역 중 청주 무심천과 전남 하의도, 나주 풍림저수지에서는 국내 생태계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천적의 출현, 개체군내 서로 먹고 먹히는 현상, 서식지의 변화 등 복합적인 영향으로 2007년 이후 꾸준히 감소하는 것으로 조사됨

  - 16개 조사지점 중 가장 많은 개체가 조사된 무안의 평척저수지는 황소개구리가 인근 수역으로 확산되고 있는 실정임

 ○ 붉은귀거북은 13개 조사지역에서 총 129개체가 관찰되었으며, 전국의 호수 및 연못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기존 모니터링 지역 중 전주 덕진연못은 무성한 연꽃으로 관리가 쉽지 않아 개체수(18개체)가 줄지 않는 반면, 울산 태화강과 함평 대동저수지에서는 지속적인 홍보로 의식개선과 퇴치운동을 실시하여 붉은귀거북의 서식이 확인되지 않음

  - 광주광역시 풍암지에서 가장 많은 41개체를 확인하였고, 제주의 문강사와 연화못에서 17개체를 확인하였음

 ○ 큰입배스와 파랑볼우럭은 우리나라 주요 대형호수를 대상으로한 12개 조사지역 중 7개 조사지역에서 우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평택호, 장성호, 낙동강하구, 주남저수지, 제주도 등 5개 지역에서는 외래어종의 비율이 절반 이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 파랑볼우럭은 전체어종 중 30.7%로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큰입배스는 5.2%로 7번째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큰입배스의 경우 성체 포획이 어려워 향후 개체수 증가가 예상됨

  - 제주도에서 외래어종의 상대풍부도는 수산저수지에서 파랑볼우럭 80.8%(42개체), 큰입배스 15.4%(8개체), 용수저수지에서 큰입배스가 57.1%(16개체)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타지역에서 인위적으로 이입시킨 것으로 판단됨

 ○ 뉴트리아는 11개 조사지역에서 총 151개체가 관찰되었으며, 낙동강 수계를 중심으로 분포·확산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뉴트리아의 서식밀도가 높은 부산 삼락공원, 맥도공원, 양산 양산천, 함안 대평늪, 질날늪, 함안천, 창원 주남저수지 등 6개 지역의 전수조사결과, 총 124개체가 확인되었으며 조사지역 가운데 비교적 넓은 면적의 습지가 조성되어 있는 맥도공원에서 가장 많은 69개체가 관찰되었음


□ 생태계교란야생식물 모니터링 주요 결과

 ○ 11종의 생태계교란야생식물을 대상으로 총 109개 조사지점을 선정하여 면형, 선형 등 서식처 유형별로 조사하였다.

 ○ 돼지풀(15지역), 단풍잎돼지풀(15지역), 가시박(16지역), 미국쑥부쟁이(15지역), 애기수영(12지역), 도깨비가지(6지역) 등은 전국의 하천변, 도로변, 목초지, 나지 등 개방되고 교란된 지역에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특히 단풍잎돼지풀, 가시박, 미국쑥부쟁이는 하천을 따라 수변식생을 우점할 뿐 아니라 최근 들어 분포지역 증가추세에 있어 분포 및 확산에 유의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서양등골나물(7지역)은 서울·경기지방의 공원산지에 침입 분포하여 식생을 교란하고, 털물참새피(11지역), 물참새피(5지역), 서양금혼초(3지역), 양미역취(4지역) 등은 주로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제한적으로 집중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붙임 1. 생태계교란종 모니터링 주요결과 1부.

       2. 생태계교란종 도입(유입)시기, 목적 및 생태계교란종 지정사유 1부.

       3. 보고서 원문 (환경부 및 국립환경과학원 홈페이지에 게재). 끝.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