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전체보기

자주찾는 메뉴메뉴   선택   후   저장   버튼을   눌러주세요(최대   6개   지정)

  • 정보공개
  • 국민소통
  • 법령·정책
  • 발행물
  • 알림·홍보
  • 기관소개

보도·설명

  • 홈으로
게시물 조회
‘저소음 건설기계’ 환경마크 최초 인증
  • 등록자명
    황애선
  • 부서명
    임시부서
  • 연락처
    358-6800
  • 조회수
    8,310
  • 등록일자
    2005-07-29
- ㈜수산중공업의 도로공사용 압쇄기 3종, ‘저소음 건설기계’ 환경마크
- 복사기, 일본과의 환경마크 상호인정협정(MRA) 절차에 따른 첫 인증
- 삼성전자㈜의 냉장고, 최초 환경마크 인증
■ 환경마크협회(회장 李相垠)는 제13차 환경마크인증심의위원회(전기·전자 및 기계 분야)에서 8개 대상제품군의 12개 업체 52개 제품에 대해 환경마크 인증을 승인했다고 7월 27일 밝혔다.
੦ 인증 승인된 제품은 복사기가 17개 제품으로 가장 많고, 이어 토너카트리지 11개 제품이다.
੦ 그 밖에도 프린터, 방전램프용 안정기 각 7개 제품, 전선 케이블 4개 제품, 저소음 건설기계 3개 제품, 냉장고 2개 제품, 형광램프용 안정기 1개 제품에 대해 환경마크 인증이 승인됐다.
■ 이번 심의에서 단연 눈에 띄는 제품은 ‘저소음 건설기계’ 제품군에서 인증 승인을 받은 ㈜수산중공업의 도로공사용 압쇄기 3종이다.
੦ 수산중공업의 도로 파쇄기 3종(SRC-50/ SRC-70/ SRC-80)의 인증 승인은 ‘EL653. 저소음 건설기계’ 제품군에서 최초 사례다.
੦ 특히 이번 인증은 환경부가 건설현장 소음으로 인한 주변 주민 피해를 줄이기 위해 가시적 조치를 취한 직후여서 더욱 눈길을 끈다.
੦ 환경부는 지난 6월 「소음·진동규제법 시행령·시행규칙 개정안」을 입법 예고한 바 있다. 개정안에서는, 소음으로 인한 국민생활 불편을 줄이기 위해 2008년부터 소음영향이 큰 건설기계 11종에는 ‘소음도’를 의무적으로 표시토록 하고 있다.
■ 삼성전자㈜의 냉장고 2종도 환경마크 인증이 승인됐다. 냉장고의 경우 1996년 말부터 2년간 환경마크를 인증받은 사례가 있었지만, 그 이후부터는 인증 사례가 없었다.
੦ 이번 인증 승인된 삼성전자의 냉장고는 오존층을 파괴하지 않는 냉매와 발포제를 사용했다. 또한 소비전력이 적어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소음도가 매우 낮아 쾌적한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제품의 재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제품을 구성하는 주요 재질에 재질분류 표시도 충실히 하고 있다.
੦ 삼성전자는 자체적으로 체계적인 폐기제품 수거 시스템을 구축해 자원 재활용에도 앞장서고 있다.
■ 복사기도 관심품목 중 하나다. 이번 인증심의에서는 일본의 도시바테크사(Toshiba Tec Co.)와 삼성재팬사(Samsung Japan Co.)의 복사기 10개 제품에 대해 환경마크 인증이 승인됐는데, 이는 일본과의 ‘환경마크 상호인정협정(MRA, Mutual Recognition Agreement)’을 활용한 첫 인증사례다.
੦ 이번 인증은 일본환경마크(에코마크)제도 운영기관인 일본환경협회가 우리나라 환경마크 인증기준에 따라 이들 제품을 검증한 보고서를 바탕으로 승인됐다.
੦ 해외소재 기업이 MRA를 활용해 우리나라 환경마크를 신청하면 해당국가의 MRA 체결기관이 현지에서 우리나라 환경마크 인증기준에 따라 직접 검증하므로, 기업은 검증기간이나 비용 면에서 부담을 크게 줄어든다.
■ 우리나라 소재 기업이 MRA를 활용해 일본환경마크(에코마크)를 인증받기 위한 절차도 진행되고 있다.
੦ 환경마크협회의 한 관계자는 “최근 들어 일본·중국 등 MRA를 맺은 국가의 환경마크를 인증받기 위한 상담이 늘고 있다”며, 이들 국가에서도 친환경상품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어 이들 국가의 환경마크 인증 취득이 시장 진출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੦ 그는 또 “조만간 MRA를 활용해 일본환경마크를 인증받는 제품이 생기게 될 것”이라며, 현재 환경마크협회가 검증을 진행중인 페인트가 조만간 일본환경마크를 인증받게 될 것임을 시사했다.
੦ 현재까지 우리나라 환경마크와 MRA를 맺은 국가는 일본, 중국, 대만, 호주, 태국 등 5개국이다. 이와는 별도로 복사기에 대해서 북유럽 5개국(스웨덴, 노르웨이, 덴마크, 핀란드, 아일랜드) 및 일본과 공통인증기준을 바탕으로 한 상호인정협정을 추진중이다.
<붙임> 제13차 환경마크 인증 승인 제품 목록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