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전체보기

자주찾는 메뉴메뉴   선택   후   저장   버튼을   눌러주세요(최대   6개   지정)

  • 정보공개
  • 국민소통
  • 법령·정책
  • 발행물
  • 알림·홍보
  • 기관소개

보도·설명

  • 홈으로
게시물 조회
낙동강 미량오염물질 114종 조사, 안전한 먹는물 생산에 우려 없는 수준
  • 등록자명
    이인정
  • 부서명
    낙동강물환경연구소
  • 연락처
    054-977-9201
  • 조회수
    1,961
  • 등록일자
    2024-05-23

▷ 검출된 76종 중 국내외 먹는물 기준이 있는 17종은 기준치 아래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원장 금한승)은 낙동강 상수원의 먹는물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왜관수질측정센터(경북 칠곡군 소재)에서 수행한 2023년 낙동강 미량오염물질 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이번 조사는 국내에서 관리하지 않고 있는 미량오염물질 중에서 2022년 이전 조사에서 주로 검출된 물질과 국외에서 관리하고 있거나 관리를 위한 후보물질 114종을 대상으로 낙동강 왜관지점에서 주 2회, 상하류 기타지점(강정, 남지, 물금)에서 2023년도 한 해 동안 월 1회씩 측정했다.


조사 결과, 낙동강 전체 조사지점에서 조사대상 114종 중에 76종(산업용 29종, 농약류 32종, 의약물질 15종)의 물질이 검출됐다.  


검출된 76종 중에 국내외 기준이 있는 17종은 모두 기준치 이내로 나타났으며, 국내외 기준이 없는 나머지 59종은 국외 검출농도보다 낮거나 유사한 수준을 보였다. 


지점별로는 왜관(경북 칠곡군, 제2왜관교) 지점에서 74종이 검출되었으며, 강정(경북 구미시, 숭선대교), 남지(경남 함안군, 남지교), 물금(경남 양산시) 등 기타 조사지점에서는 각각 64종, 67종, 68종의 물질이 검출되었다.


금한승 국립환경과학원장은 “올해부터는 낙동강 하류지역의 매리수질측정센터(경남 김해시 소재)와 왜관수질측정센터를 연계해 운영하여 낙동강  전 구간에서 미량오염물질의 촘촘한 감시를 수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붙임 1. 왜관수질측정센터 개요.

     2. ‘23년 낙동강 미량오염물질 조사결과(요약).  끝.

      ※ 별첨 2023년 미량오염물질 조사 결과 


담당 부서 국립환경과학원 책임자 소  장  박지형 (053-602-2701)  낙동강물환경연구소 담당자 연구관 이인정 (054-977-9201)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