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전체보기

자주찾는 메뉴메뉴   선택   후   저장   버튼을   눌러주세요(최대   6개   지정)

  • 정보공개
  • 국민소통
  • 법령·정책
  • 발행물
  • 알림·홍보
  • 기관소개

보도·설명

  • 홈으로
게시물 조회
하수처리용량 1일 2천만톤 돌파!
  • 등록자명
    김수찬
  • 부서명
    생활하수과
  • 연락처
    2110-6883
  • 조회수
    6,029
  • 등록일자
    2004-08-23
□ 하수처리시설 242개소 운영, 하수도보급률은 78.8%
연평균 방류수질(BOD) 10㎎/ℓ로 전년도에 비해 낮아진 수준
137개 하수처리장은 전문능력을 갖춘 민간에 위탁하여 운영
■ 환경부는 지방자치단체에서 제출한 하수처리시설 운영결과 조사표를 토대로 2003년도 전국 하수처리시설에 대한 운영관리실태를   분석한 결과 242개(시설용량 20.9백만톤/일) 하수처리시설이 설치되어 운영중이며, 이에 따른 하수도보급률이 78.8%라고 밝혔다.
■ 연평균 방류수질은 BOD가 전년도 11㎎/ℓ에서 10㎎/ℓ로 낮아진 것을 비롯하여 COD, SS, T-N도 낮아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ㅇ 다만, 5개 하수처리시설(이천,충주,용인,하자포,서종)은 방류수 수질기준을 초과하고 있으나, 이들 하수처리시설에 고도처리시설을 도입하기 위해 현재 공사중에 있으며, 공사완료시까지 방류수 수질기준을  준수할 수 있도록 환경관리공단의 기술지원을 실시하기로 하였다.
■ 41개 하수처리시설은 시설용량의 50% 미만으로 하수가 유입되고, 53개 하수처리시설은 시설용량을 초과한 하수가 유입됨에 따라 ’05년도에는 하천수, 계곡수 등 불명수 배제를 위한 하수관거정비를 위해 1,152억원을 지원하고, 하수처리시설의 용량증설을 위해 261억원의 국고를 지원한다.
■ 이번 운영관리실태 분석결과 주목할 만한 특징으로는 하수처리 운영을 전문 능력을 갖춘 민간에게 위탁하는 하수처리시설이 ’99년 33개소에서 ’01년 89개소, ’02년 114개소, ’03년 137개소로 매년 증가하고 있어 하수처리시설 운영방식이 민간위탁방식으로 전환되고 있는 추세이다.
ㅇ 하수처리시설 운영에 소요되는 직접경비로 하수처리비용을 산출한 결과 하수1톤을 처리하는데 66.1원이 소요되며,
ㅇ 지방자치단체에서 직접 운영하는 시설은 76.6원, 민간에 위탁하여 운영하는 시설은 58.1원의 처리비용이 소요되어 전문능력을 갖춘 민간에 위탁할 경우 더 저렴하게 운영할 수 있다.
■ 또한 연간 하수처리수 재이용량은 전년도 2.6억톤 보다 32.2% 증가한 3.5억톤으로 주로 세척수, 냉각용수, 하천유지용수, 농업용수 등으로 사용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재이용량이 낮은 실정이다.
ㅇ 이에 따라 장래의 물부족 사태에 대비하여 고도처리시설이 설치된 하수처리시설부터 하수처리수를 재이용할 수 있도록 용도별 수질 권고기준을 마련하여 하수처리수 재이용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 이번 하수처리시설 운영관리실태 분석결과 나타난 문제점에 대하여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효율적인 개선방안을 마련하여 추진하고, 환경부에서는 지속적으로 이행여부를 확인하여 정부의 맑은물 공급대책 추진에 차질이 없도록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참고자료>
※붙임 : 2003년도 하수종말처리시설 운영관리실태 분석결과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