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전체보기

자주찾는 메뉴메뉴   선택   후   저장   버튼을   눌러주세요(최대   6개   지정)

  • 정보공개
  • 국민소통
  • 법령·정책
  • 발행물
  • 알림·홍보
  • 기관소개

보도·설명

  • 홈으로
게시물 조회
고랭지밭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이 일반 밭보다 현저히 높게 나타나는 등 관리의 필요성 높아
  • 등록자명
    양한나
  • 부서명
    수질총량제도과
  • 연락처
    02-2110-7648
  • 조회수
    5,738
  • 등록일자
    2006-05-18
 

고랭지밭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이 일반 밭보다 현저히 높게 나타나는 등

관리의 필요성 높아


◇ BOD의 경우 6~12배, T-N의 경우 3~10배, T-P의 경우 2~27배 수준으로 나타나


□ 환경부는 고랭지밭의 비점오염 관리대책 수립을 위하여 고랭지밭 현황 및 환경영향에 대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 제도 개선 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고랭지밭 비점오염원 최적관리」를 위한

   조사사업을 실시하였다.


□ 연구결과에 따르면 한강, 낙동강, 금강 수계의 고랭지밭 유출원단위는 오염총량관리제에서 적용하는

   일반적인 밭의 발생원단위(BOD 1.6kg/km일, T-N 9.44kg/km2·일, T-P 0.24kg/km2·일)보다 BOD의

   경우 6~12배, T-N의 경우 3~10배, T-P의 경우 2~27배로 관리의 필요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강, 낙동강, 금강 수계의 고랭지밭 유출원단위>

(kg/km2·일)

한강

낙동강

금강

BOD

9.83

12.25

19.09

T-N

74.47

32.35

95.59

T-P

6.51

0.55

1.76


□ 또한, 고랭지 농가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고랭지 농업인들은 고랭지 지대의 환경문제로 토사유출을

   가장 큰 문제로 인식하고 있었으며(40농가 중 28농가, 70%), 고랭지농업을 가장 큰 원인으로 들고

   있어(40농가 중 25농가 62.5%), 고랭지밭 경작자들도 고랭지 농경지의 토사유출 문제를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한편, 우리나라 고랭지 밭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백두대간 32개 시군의 고랭지밭 표고 및

   경사도별 면적분포를 분석한 결과,

   ○ 표고 400~600m인 밭 면적은 44,375ha, 600m 이상인 밭 면적은 26,855ha로 고랭지밭 총 면적은

   71,230ha로 나타났으며, 이는 32개 시군 전체 밭 면적 288,276 ha의 24.7%에 해당한다.(붙임2 참조)

   ○ 또한 표고와 관계없이 경사도 15% 이상으로 토양보전 농법이 필요한 밭 면적은 169,269ha로

   나타났다. (32개 시군 전체 밭 면적의 58.7%)


□ 환경부는 금번 연구 결과를 향후 고랭지밭 흙탕물저감사업 지원의 우선순위 선정에 활용할 계획

   이라고 밝혔다.

   ○ 또한, 고랭지밭의 유출원단위의 연구를 지속하고,

   ○ 고랭지밭의 비점오염물질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관리를 통한 억제(토양 정밀 진단을 통한

   시비처방, 등고선 재배 등), 식생을 통한 억제(작물피복, 여과초생대, 수변 완충지역 등), 구조적

   억제(계단식 경작, 우회수로 등) 방법을 병행하는 지역별 최적관리기법에 대한 연구를 지속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참고 자료 >

붙임 : 1.「고랭지밭 비점오염원 최적관리를 위한 조사사업」 용역결과

         2. 32개 시군의 표고별 고랭지밭 면적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