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전체보기

자주찾는 메뉴메뉴   선택   후   저장   버튼을   눌러주세요(최대   6개   지정)

  • 정보공개
  • 국민소통
  • 법령·정책
  • 발행물
  • 알림·홍보
  • 기관소개

보도·설명

  • 홈으로
게시물 조회
기후적응 전문가 모여 적응정보 표준화 협력방안 모색한다
  • 등록자명
    오윤영
  • 부서명
    지구환경연구과
  • 연락처
    032-560-7318
  • 조회수
    330
  • 등록일자
    2024-06-19

▷ 제4회 ‘국가 기후위기 적응연구 협의체’ 적응 연구 토론회 개최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원장 금한승)은 기후위기 적응정보의 표준화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제4회 ‘국가 기후위기 적응연구 협의체(이하 협의체)’ 토론회를 6월 20일 숙명여자대학교(서울시 용산구 소재)에서 개최한다.


협의체*는 2022년 9월 6일에 기후위기적응정보관리체계 구축 협력을 위해 물, 농업, 산림, 생태, 수산, 해양 등 10개 부문의 전문기관이 모여 발족했으며, 매년 반기별로 개최되는 토론회에서 그간의 연구 성과를 종합하여 공동연구논문집**을 발간하고 있다. 

* 국립환경과학원, 국립기상과학원, 국립농업과학원, 국립산림과학원, 국립수산과학원, 국립해양조사원, 국립생태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농어촌공사, 한국수자원공사

** 2023년 12월 31일 공동연구논문집 창간호(기후변화학회지 14권6-2호, 특별호) 발간


이번 토론회는 국내외 전문가를 비롯해 적응정보 관련 기관에서 총 100여 명이 참석하여 ‘부문별 적응정보 생산·이용 현황 및 표준화·협력 방안’을 주제로 논의를 진행한다. 1부에서는 △적응정보 표준분류체계 개선방안(국립환경과학원), △기상분야 적응정보 표준화 및 연계활용(국립기상과학원), △농업분야 적응정보 이용 및 표준화 협력 방안(국립농업과학원), △산림부문 적응정보 현황 및 공유방안(국립산림과학원), △공통사회경제경로(SSP*) 예측(시나리오) 기반 수산분야 취약성 평가(국립수산과학원), △연안재해 위험성 평가지표 개선(국립해양조사원)의 발제가 있을 예정이다. 

* 공통사회경제경로(Shared Socioeconomic Pathway, SSP): 미래의 사회적, 경제적 발전 경로를 반영하여 예측한 기후변화 시나리오


2부에서는 △기후취약성 평가를 육상 생물종 기초조사자료 표준화(국립생태원), △농업생산기반시설의 적응정보 생산 및 대응방안(한국농어촌공사), △기후변화영향평가도구의 보건 분야 연계 활용(한국보건사회연구원), △환경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운영 현황 및 협력(한국수자원공사)의 발표가 이어진다. 기관별 발표가 끝난 후에는 전성우 고려대학교 교수가 사회를 맡아 발제자들과 종합토론을 진행한다.

 

유명수 국립환경과학원 기후대기연구부장은 “전 부처가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후적응 통합정보체계 마련을 위해 국내 적응 연구기관들과 협력을 확대할 계획”이라면서, “국립환경과학원의 강점인 부문별 실측데이터와 환경위성, 인공지능(AI)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효과적인 기후위기 적응대책 수립을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붙임  1. 2024년 상반기 제4회 적응연구 토론회 프로그램.

      2. 전문용어 설명.  끝.


담당 부서 국립환경과학원 책임자 과  장  임철수 (032-560-7300)  지구환경연구과 담당자 연구관 진형아 (032-560-7309) 연구사 오윤영 (032-560-7318)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