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전체보기

자주찾는 메뉴메뉴   선택   후   저장   버튼을   눌러주세요(최대   6개   지정)

  • 정보공개
  • 국민소통
  • 법령·정책
  • 발행물
  • 알림·홍보
  • 기관소개

보도·설명

  • 홈으로
게시물 조회
우리나라, UNESCO MAB 이사회 의장단에 진출/북한 구월산, UNESCO 생물권
  • 등록자명
    정경윤
  • 부서명
    자연정책과
  • 연락처
    2110-6739
  • 조회수
    5,964
  • 등록일자
    2004-11-01
◆ 우리나라, UNESCO MAB(인간과 생물권계획) 이사회 의장단에 진출 - 한국 MAB위원장 최청일(한양대 교수) 부의장에 선출 ◆ 북한 구월산, UNESCO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신규 지정 - 한반도 총 4개소(남한 2, 북한 2)로 늘어나 1. MAB 이사회 의장단(부의장) 진출은 환경외교에 있어 중요한 의미 o 의장단은 신규 생물권보전지역 심사권 등을 보유 o 우리나라의 적극적인 동북아 지역 활동 등을 국제사회가 인정 ■ 지난주(10.25~29) UNESCO 본부(프랑스 파리)에서 개최된 인간과 생물권계획(MAB: Man & the Biosphere) 제18차 이사회 회의에서 우리나라가 부의장국으로 선출되었다. 수석대표로 참석한 한국 MAB 위원장 최청일 교수(한양대 지구해양과학과, 64세)가 앞으로 2년간 부의장직을 수행한다. o 이사회 의장단(의장1, 부의장5)은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신규지정, MAB 청년 과학자상(MAB Young Scientist Award) 수상자 및 유네스코의 생태환경분야 관련 사업계획 등을 심사한다. ■ 우리나라는 2003년 10월 유네스코 총회에서 처음으로 MAB 이사국으로 선출되었으며, 이번 회의에는 5명의 민관합동(환경부, 주불대사관, UNESCO한국위원회 전문가)의 정부대표단이 참가하였다. o 이번 회의에는 이사국 34개국을 포함 총 68개국과 IUCN, UNEP, 람사협약사무국, 생물다양성협약 사무국 등 5개 자연보전관련 국제기관이 참가하여, 생물권보전지역 16개소 신규 지정 뿐만 아니라, 개도국중심으로 선발되는 10명의 MAB청년과학자 수상자를 선정하였다. 또한 생물권보전지역 모니터링 강화방안과 향후 2005-2010년간 주요 사업계획 등이 논의되었다. ■ 그간 우리나라는 1994년 동북아 6개국(한국, 러시아, 중국, 북한, 일본, 몽골)으로 구성된 동북아생물권보전지역네트워크(EABRN) 창설의 주도적 역할을 하였고, 환경부는 이후 동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추진을 위한 기금(매년 35,000달러)을 지원하는 등 MAB프로그램 관련 활발한 활동을 하여왔다. 2. 북한 구월산, UNESCO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신규 지정 o 한반도 총 4개(남한 2 : 설악산, 제주도, 북한 2 : 백두산, 구월산) ■ 이번 인간과 생물권계획(MAB: Man & the Biosphere) 제18차 이사회 회의에서는 북한의 구월산을 포함한 19개소가 새로이 UNESCO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되었다. o 구월산이 신규 지정됨으로써 한반도에는 설악산(1982), 백두산(1989), 제주도(2002) 등 총 4개의 생물권보전지역이 지정되었고, 향후 생물권보전지역을 매개로 한 생태계 모니터링 등 남북한간의 환경협력 분위기 조성과 함께 국제 환경협력의 기회가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o 금번 지정된 구월산(Mount Kuwol) UNESCO 생물권보전지역은 해발 954m 구월산과 인근의 습지 등 총 면적 500㎢ 규모이며, 평양에서 100km 정도 떨어진 황해남도에 은율군과 안악군 경계에 위치하고 있다. 예로부터 ‘서해의 금강’으로 불리며, 600여 종의 나무, 풀, 30여 종의 산짐승(복작노루, 멧돼지, 산토끼, 고슴도치 등), 10여 종의 희귀조류(청조, 청너구리, 까막너구리, 두견새, 삼광조, 호반새, 꾀꼬리 등)가 살고 있어 1976년 북한의 자연보호구로 지정되었다. ■ UNESCO 생물권보전지역은 람사습지, 세계자연유산과 더불어 국제기구가 공인하는 세계 3대 자연보호지역중의 하나로서, 이번 신규 지정된 곳을 합하여 전세계적으로 97개국 459개소로 늘어났다.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되면 자국의 우수한 생태계를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동시에, 생물권보전지역의 조사, 관리 등을 위한 기술적, 재정적 지원을 받는 기회가 확대될 수 있어 세계 각국은 이의 신규지정을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o UNESCO는 1976년부터 생물다양성 보전과 인간활동의 조화를 촉진하기 위해 생물권보전지역을 지정하고 모니터링, 연구, 지속가능 경제활동 등 다양한 활동을 추진하여 왔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