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전체보기

자주찾는 메뉴메뉴   선택   후   저장   버튼을   눌러주세요(최대   6개   지정)

  • 정보공개
  • 국민소통
  • 법령·정책
  • 발행물
  • 알림·홍보
  • 기관소개

보도·설명

  • 홈으로
게시물 조회
기후변화 영향평가 결과, 자연재해·전염병 증가로 기후적응대책 마련 시급
  • 등록자명
    성수호
  • 부서명
    지구환경담당관
  • 연락처
    504-9245
  • 조회수
    7,242
  • 등록일자
    2003-09-27
- 작년부터 10개월간 실시한 연구결과, ''90년대 이후 한반도 고온현상과 자연재해의 강도는 증가하는 추세
- 특히 혹서로 인한 사망증가, 전염병증가 등 기후변화가 직·간접적으로 인체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많은 것으로 파악되어 독거노인, 도시빈곤층 등 취약인구에 대한 적응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나
■ 환경부에서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과 아주대학교(예방의학교실)에 의뢰하여 한반도 기후영향평가 및 적응프로그램 마련의 일환으로 실시한『지구온난화의 건강피해 가능성조사 및 피해저감 정책방향에 관한 연구』에서 기후변화와 인체건강영향과는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이번 연구는 기후변화로 인한 영향을 기온·강수량 등의 변화로 나타나는 직접적인 건강영향과, 대기오염의 변화·질병매체의 서식변화로 인한 간접적인 건강영향으로 분류하여 국내외 사례를 조사하였다.
기온상승과 관련하여 대체로 ''90년대 이후 한반도 여름철 고온발생 빈도가 증가추세이고, ''91-''00년간 서울시의 7-8월 평균 최고기온과 평균 사망자수 추이가 대체로 비례한 것으로 나타났다.
- 또한 지난 ''94년 7∼8월 우리나라에서 혹서(heat wave) 현상이 심했던 기간중 전체 사망자수(5,742명)가 ''93년 같은 기간과 비교하여 21%(988명) 증가하여 외국의 연구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 ''95년 미국 시카고에서 발생한 5일간의 혹서에서 사망자수는 다른 년도와 비교하여 80% 증가(대부분의 사망원인은 고온으로 인한 일사병 등이 원인으로 파악됨)
- 이외에 그 동안 발표된 국외자료에 따르면 혹서와 관련된 사망은 농촌보다 도시 거주자들에게 많이 나타나, 도시지역 빈곤층과 노약자 등 기후변화 취약인구에 대한 적응대책마련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최근 10년간(''91-''00)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자연재해(태풍, 호우, 폭풍, 설해 등)의 경우, 호우가 가장 많은 사망자를 발생시킨 반면 태풍은 한번 발생시 가장 많은 사망자를 발생시키는 재해로 파악되었으며, 대체로 자연재해 발생건수는 줄어들고 있으나 한번 발생하면 지속되는 기간과 피해액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간접적인 건강영향으로는, 기온상승과 비례하여 대기내 광화학적 반응을 촉진하여 오존농도가 증가하는 등 대기오염을 심화시켜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말라리아, 세균성이질 등 매개체를 통한 질병이 증가추세에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 특히 법정전염병중, 쯔쯔가무시증, 말라리아, 세균성이질, 렙토스피라증, 비브리오폐혈증 등 기후변화와 관련이 깊은 질병들은 ''90년대 이후 꾸준한 증가추세를 보였다.
■ 환경부는 국내 처음으로 추진된 기후변화의 건강영향에 대한 이번 연구결과를 토대로 앞으로 관계부처 및 선진국 관계기관들과 협력하여 좀더 과학적인 인과관계 규명을 위한 공동연구를 추진하고, 이를 토대로 건강피해 우려시 행동요령, 응급대응계획 등 대책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
※ 국제적으로 기후변화의 건강영향평가 연구를 추진한 나라는 미국, 영국, 일본, 캐나다, 호주 등 10개국 미만으로 파악됨
■ 기후변화는 인체건강뿐만 아니라 생물다양성, 사막화, 해양, 대기질에도 영향을 미치는 실정으로, 기후변화로 인한 생태계 변화와 국민생활행태 변화 등으로 연구범위를 확대하고, 적응(adaptation)대책을 강구해 나갈 것이다.
특히, 그 동안 주로 온실가스 배출저감을 통한 지구온난화 완화(mitigation) 방안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으나, 앞으로는 기온상승 예측시나리오별 영향평가와 적응방안에 대한 작업도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 국내에서는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학계 전문가 등에 의해 해수면 변화·산림생태계 변화 등 일부 기후변화 영향에 대한 연구가 추진된 바는 있음
- 국제적으로도 기후변화 적응대책의 중요성은 제8차 기후변화협약당사국총회(''02.10, 뉴델리) 등 최근 들어 강조되는 추세로, 제20차 IPCC총회(''03.2, 파리)에서도 영향평가실무그룹 구성에 합의한 바 있다.
※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는 ''88년 세계기상기구(WMO)와 UNEP에 의해 설립된 전문가협의체로, 기후변화에 관한 과학적·기술적 평가자료를 제공해 옴(''01년까지 3회에 걸쳐 보고서 발표)
■ 아울러 환경부는 학술대회, 설명회, 인터넷 등을 통해 기후변화 영향 및 적응에 관한 내용을 적극 홍보하고, 전문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국내 민·관 전문가들간 상호 정보교류도 강화해 나갈 것이다.
※ 환경부는 ''03년 2월부터 기후변화홍보포탈사이트(www.gihoo.or.kr)를 운영중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