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내용 바로가기
  • home
  • 알림마당
  • 보도·해명자료
  • 전체
전체
게시물 조회
  • [경북일보0316] 섬유업체, 폐기물 처리‘비상’
    • 등록자명 :
    • 조회수 : 1,475
    • 등록일자 : 2004.03.16
  • 섬유업체, 폐기물 처리‘비상’  
    해양투기 규제 강화…대책 없어‘전전긍긍’  
    [2004.03.16]    
    올해 말 폐기물 해양투기를 규제하는 국제협약이 발효될 예정이나 국내에서 아직까지 대비책이 나오지 않아 바다에 폐기물을 투기해오던 대구지역 섬유업체에 비상이 걸렸다.

    폐기물 해양배출제도는 육지에서 처리가 곤란한 폐기물 가운데 일부를 해양에 투기하는 것으로 지난 2002년도의 경우 850여만 톤의 폐기물이 동해 등 바다에 버려졌으며 이 중 50만 톤이 섬유업체에 의해 투기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올해 안에 폐기물 해양투기를 강력히 규제하는 국제협약(96런던협약)이 발효될 예정이어서 업체들마다 폐기물 처리 때문에 전전긍긍하고 있다.

    더욱이 정부는 협약이 발효되기 전 이 내용을 담은 해양오염방지법 시행규칙개정(안)을 마련할 계획으로 이 안이 오는 7월 시행될 것이라는 예측까지 나오고 있는 가운데 업체들이 대비책을 전혀 마련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로 인해 해양배출 규제가 강화될 경우 육지처리 대안 등 수용체제가 미비한 현재로서는 기업의 생산공장 가동 중지 등 큰 혼란이 야기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에 다급해진 대구지역 섬유업체들은 산자부 등에 규제 완화와 유예기간 부여를 요구하며 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실정이다.

    하지만 규칙개정안을 준비중인 해양수산부마저 아직까지 정확한 내용을 발표하지 않아 업체들을 더욱 다급하게 만들고 있다.

    이에 대해 해양수산부 해양보전과 관계자는 “용역을 의뢰한 기관에서 곧 규제 기준을 발표할 예정으로 관계 기관과 충분한 협의를 거쳐 마련할 것”이라며 “그러나 규제가 강화된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이에 대한 투자나 대비에 미흡했던 기업들도 미리 준비하지 않은데 책임이 있다”고 덧붙였다.
             



    김정혜기자  
    tolerance@kyongbuk.co.kr  
  • 목록
  • 이전글
    [경북일보0316] 영양지역 하천변 수해복구 공사 ‘떼 발주’ 흙탕물‘줄줄’수질 오염 비상...
    다음글
    [경북일보0316] 폐기물 관련업소 불법행위 ‘심각’ 대구환경청, 동절기 단속 위반행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

  •   
  •   
  •   
  •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