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내용 바로가기
  • home
  • 기관소개
  • 청장소개
  • 연설문/서한
연설문/서한
게시물 조회
  • [칼럼]도시에 자연을 불러오자[대구신문, 02.7.19]
    • 등록자명 : 관리자
    • 조회수 : 2,088
    • 등록일자 : 2002.08.08
    • 담당부서 : 관리자
  • 현대에 와서 산업화로 사람들이 살아가는 생활환경의 편리성은 증대되었지만, 반대급부로 자연환경과 생물들의 서식지가 파괴되었고 이로 인하여 도시지역은 콘크리트로 덮인 회색도시로 변모하게 되었으며, 결국 우리 주변의 많은 동식물들이 감소되거나 멸종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다
    이렇듯 도시화 과정은 먹이사슬에 의하여 유지되어 오는 생태계 시스템에 중대한 위협을 주어 궁극적으로는 생태계의 구성요소로서 먹이사슬의 최고단계에 있는 인류의 존속성까지 위협을 가할 수 있는 인류 최대의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학자들의 발표에 의하면 지구가 탄생한 이래 수세기에 걸쳐 생물종이 최소 1천만 종에서 최대 1억 종까지 될 수 있다고 보고있다. 고생대 때부터 종의 평균 소멸률은 백년마다 9%였고 5년마다 한 종이 사라진다고 추정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수십 년 동안 자연서식지 파괴와 인간활동에 의해 일어나는 멸종은 하루평균 140여종에 이른다고 보고되고 있다. 멸종되는 종들의 대부분은 숲과 작은 녹지에 살고 있으며 녹지가 사라짐과 함께 이들이 품고 있는 생명들조차 사라져가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도시지역에서 사라져 가는 녹지와 생물들을 다시 복원함으로써 자연이 갖고 있는 여러 가지 기능을 회복시켜주고 사람이 살고 있는 환경을 개선시켜 주는 것은 무엇보다도 중요한 과제가 아닐 수 없다.
    생태도시는 도시를 하나의 유기체로 보고 도시의 다양한 활동과 구조를 자연의 생태계가 지니고 있는 다양성, 자립성, 순환성, 안정성의 원칙에 가깝도록 계획, 설계되어 인간과 자연이 공존할 수 있는 도시를 조성하고자 하는 것이다. 비오토프(獨 Biotop)라고 하는 소생태계는 생태도시에서 정적이나 면적으로 조그만 생태계를 많이 조성하여 도시지역과 같이 생태계가 파괴되고 생물서식공간이 부족한 지역에 생물다양성을 증진하고 생물과 공존하는 도시가 되도록 하기 위하여 도시내 부족한 생물서식공간을 새로이 조성하거나 단절․고립된 서식공간들을 점․선․면의 다양한 형태와 방법으로 네트워크를 형성해 주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소생태계는 도시공원의 녹지, 하천, 늪지, 건물녹화 등 다양한 종류로 구성할 수 있다. 도시 외곽부의 산림 등에서 야생생물들을 도시 내로 유도하고 자연과 접촉할 수 있도록 시가지 내에 있는 도시공원과 녹지체계를 정비하고 연계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자연 그대로의 먹이사슬을 통한 자연순환시스템, 즉 도시생태 시스템(Urban Eco- system)이 이루어지도록 하여야할 것이다. 특히 도시내 하천, 늪지등은 생물다양성이 가장 풍부한 곳이므로 되도록 많은 공간의 확충이 필요하다. 또한, 이를 조성할 시에는 자연상태로 생물다양성이 풍부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금년에 우리청사도 온 직원이 협력하여 담장을 허물고, 생태연못을 만들고 옥상녹화를 하고 나무와 야생화를 심는 등 생태청사를 만들었다. 그 결과 보는 사람 모두가 좋아하고 실제로 도시의 녹지공간과 비오토프의 조성이 얼마나 의미있는 것인지를 체험하게 되었다. 나 자신도 틈만 나면 연못 주위를 거닐며 연못에  그동안 생겨난 송사리, 소금쟁이 등을 보고 나비와 잠자리가 날아오는 것을 보며 너무 좋다는 것을 느낀다. 아마 우리직원은 도시의 녹지공간이 이래서 좋은 것이구나, 왜 많이 만들어야 하는 지를 모두 체험하였을 것이다.
    그렇다, 회색의 시멘트화된 도시에 우리 모두가 조그만 녹지라도 만들고 가꾸고 나무 한그루라도 심는다면 그 보람을 느낄 것이다. 우리가 사는 환경을 개선하는 것이고, 인간의 삶과 함께 자연을 같이 살리는 길이고, 우리 미래세대의 생존을 위하여 보탬이 되는 것이기 때문에......
    이렇듯 우리모두 도시에 자연을 불러와 보자.
  • 첨부파일
  • 목록
  • 이전글
    [칼럼]낙동강 오염사고를 수질개선의 교훈으로[대구신문 02.8.9]
    다음글
    [칼럼]경북기술개발센터 2001년도 연구사업 최종발표회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

  •   
  •   
  •   
  •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