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내용 바로가기
  • home
  • 알림마당
  • 보도·해명자료
  • 전체
전체
게시물 조회
  • [중앙 0326] 밖에서 마시는 물 25% 부적합
    • 등록자명 :
    • 조회수 : 1,365
    • 등록일자 : 2004.03.26
  • 외출했을 때 마시는 물이 안심해도 될까. 서울대 보건대학원 연구팀은 지난달 말 서울과 경기도 안양시의 음식점.상가.병원 등 28곳에서 제공하는 먹는 물을 분석한 결과 25%가 미생물 기준을 초과했다고 25일 밝혔다. 서울 신촌의 한 음식점에서 정수기로 걸렀다며 내놓은 물 100㎖에는 있어서는 안 되는 대장균이 네 마리 검출됐다. 일반세균도 ''㎖당 1백마리 이하''라는 기준을 넘었다. 일반세균 기준을 초과할 경우 배탈.설사 등을 일으킬 수 있다. 또 종로의 식당에서 내놓은 정수기 물에서도 대장균이 두 마리가 검출됐다. 대장균이 검출됐다는 것은 병원성 세균이 함께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는 뜻이다. 이와 함께 종로지역 동사무소 한곳과 안양시 관양동의 학원 등에서 제공하는 먹는샘물도 일반세균 기준치를 초과했고 서울의 한 대학병원 먹는샘물에서도 일반세균이 기준에 육박하는 75마리나 검출됐다. 환경부 이성한 수도관리과장은 "식당 등에서 내놓은 물을 일일이 단속하기는 불가능하다"며 "개인이 위생관리에 더 노력하는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또 밤 사이 잠가놓았던 수도꼭지를 아침에 틀었을 경우 수돗물의 세균이 증가한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서울대 황대호 연구원은 "정수기나 생수기를 자주 청소하지 않으면 오히려 건강을 해칠 수 있다"며 "아침에는 수돗물이나 정수기 물을 2~3ℓ 흘려보낸 다음 마시는 게 좋다"고 말했다. 강찬수 환경전문기자
  • 목록
  • 이전글
    [중앙 0326] [환경이 아프면 몸도 아프다] 4. 수돗물 오염
    다음글
    [경북03.25] 포항시 폐기물처리장 분양 특혜소지 지적 시민단체“투명행정 촉구”성명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

  •   
  •   
  •   
  •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