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내용 바로가기
  • home
  • 알림마당
  • 보도·해명자료
  • 전체
전체
게시물 조회
  • 하류물 마신다/MBC 9시 뉴스
    • 등록자명 : 김보래
    • 조회수 : 4,048
    • 등록일자 : 2004.08.25
  • 하류물 마신다

    [MBC 2004-08-24 / 9시뉴스]

     

    앵커: 서울시가 서울시민들 수돗물원수를 취수하는 장소를 10여 년에 걸쳐 팔당호에서 한강 하류로 옮긴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서울시는 정수를 잘 해 전혀 문제가 없다는 주장이지만 과연 그럴는지 의문입니다.박충희 기자입니다.

    기자: 상수원보호구역인 팔당호수.
    하루 400만톤의 물이 수돗물 원수로 사용되지만 서울로 가는 물은 거의없습니다. 서울로 공급되는 양은 강동과 송파 일대에 고작 30만톤. 서울의 하루 수돗물 원수 사용량 360만톤의 10분의 1도 안 됩니다. 나머지 330만톤의 물은 모두 팔당댐 하류의 5개 취수장에서 퍼나릅니다. 문제는 댐 하류에서 물을 퍼올리는 취수장들로 오염된 하천이 흘러든다는 데 있습니다.

    한강으로 유입되는 경기도 하남의 산곡천. 빗물이 나와야 할 우관에서 생활폐수가 흘러나오고 하천둑에는 하천찌꺼기가 잔뜩 끼었습니다.

    맞은편의 구리왕숙천, 비오는 날에는 검은띠를 이룬 물이 쏟아져 나옵니다. 이 왕숙천 물은 불과 4km 떨어진 구의취수장 등으로 유입됩니다. 수질이 좋을 리 없습니다. 구의정수장 원수에서 발견된 대장균 수는 100밀리리터에 2만 2000마리로 팔당물의 80배입니다. 당연히 약품처리를 많이 할 수밖에 없습니다. 작년 한해 구의정수장에서 쓴 약품은 2800만세제곱미터로 다른 정수장보다 10배나 많았습니다.

    인터뷰: 환경호르몬물질 같은 이런 물질들은 우리가 먹는 물 규정에 정해져 있지 않다 하더라도 우리가 우려할 수 있는 그런...

    기자: 하지만 서울시는 팔당호의 물을 달가워하지 않습니다. 수자원공사에 1톤에 180원씩 비싼 물값을 내야 하기 때문입니다. 서울시는 10년 동안 팔당물의 사용을 계속 줄여왔고 결국 작년에는 1000억원이 넘는 흑자를 기록했습니다.

    인터뷰: 정수하고 난 다음의 수질 차이는 크게 없었기 때문에 저희가 시설투자를 해 가지고 그리 끌고 올라갈 그럴 정도의 필요성은 느끼지 못했다. 다만 1급수 정도의 원수를 확보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

    기자: 시민단체들은 건강을 생각해서라도 깨끗한 원수를 공급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인터뷰: 팔당물을 안 먹으려면 물이용부담금을 부담할 필요가 없다는 거죠. 보이콧트할 수 있는 거죠.

    기자: 시민단체들은 오폐수가 흘러든 하류의 물을 원수로 쓴 수돗물과 팔당호물을 원수로 쓴 수돗물값을 똑같이 받는 것도 부당하다는 주장입니다.

    MBC뉴스 박충희입니다. function chkNpicImgWidth0() { var argWidth = document.all.npicImg0.width; var argHeight = document.all.npicImg0.height; if ((argWidth 450){ argWidth = 450; } } if (argWidth == 250 || argWidth == 450) { document.all.npicImg0.width = argWidth; } argHeight = document.all.npicImg0.height; document.all.laNpicTBL0.align=\"left\"; document.all.laNpicTBL0.style.width = argWidth; document.all.laNpicTable0.style.width = argWidth; document.all.mediaTbl0.style.width = argWidth; document.all.laNpImg0.style.width = argWidth.toString() + \"px\"; document.all.laNpImg0.style.height = argHeight.toString() + \"px\"; document.all.laNpImg0.style.display = \"block\"; } setTimeout(\'chkNpicImgWidth0()\', 150)
    [사회]  [집중취재] 박충희 기자    2004.08.24
  • 첨부파일
  • 목록
  • 이전글
    2004년 상반기 하수처리시설 지도ㆍ점검결과
    다음글
    수질배출부과금 징수율 저조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

  •   
  •   
  •   
  •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