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전체보기

자주찾는 메뉴메뉴   선택   후   저장   버튼을   눌러주세요(최대   6개   지정)

  • 정보공개
  • 국민소통
  • 법령·정책
  • 발행물
  • 알림·홍보
  • 기관소개

보도·설명

  • 홈으로
게시물 조회
2018년 대비 2020년 화학물질 취급업체 19.9% 증가
  • 등록자명
    전상인
  • 부서명
    화학물질정책과
  • 연락처
    044-201-6785
  • 조회수
    3,747
  • 등록일자
    2023-01-18

▷ 환경부, 제4차 화학물질 통계조사 결과 공개

□ 취급업체 3만 7,107개, 화학물질 수 3만 1,600종, 유통량 6억 8,680만 톤

□ 제조량 4억 6,126만 톤, 수입량 3억 5,064만 톤, 수출량 1억 2,510만 톤으로 조사

□ 제3차 조사 대비 증가한 유통량(4,861만 톤)은 제조·수입량 증가 및 통계조사 대상의 확대에 기인


환경부(장관 한화진)는 '제4차(2020년) 화학물질 통계조사' 결과, 화학물질 취급업체 3만 7,107개 사업장에서 3만 1,600종의 화학물질 6억 8,680만 톤이 유통되었다고 밝혔다.


이는 2018년 제3차 조사 대비, 취급업체 수는 19.9%, 화학물질 종류는 7.1%, 유통량은 7.6%가 각각 증가한 수치다. 유통량이 7.6%(4,861만 톤) 증가한 것은 제조·수입량 증가와 통계조사 대상의 확대가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 광양(26.4백만톤↑), 대산(21.0백만톤↑), 포항(26.0백만톤↑) 등의 주요 산단의 제조·수입량 증가 및 조사 대상 10,592개소(전체 사업장의 28.5%) 확대


환경부는 지난 2014년 제1차 화학물질 통계조사를 시작으로 국내에서 취급되고 있는 화학물질의 종류 및 제조, 사용, 수출입 등의 취급실태를 파악하여 화학사고 대응 및 예방, 사업장 취급 안전관리 등의 기초자료로 활용해왔다.


'2020년 화학물질 통계조사'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취급형태별로는 2018년 대비 제조량 8.2%(3,489만 톤), 수입량 5.6%(1,859만 톤), 수출량 4.1%(487만 톤)이 각각 증가했다.


'18년, '20년 화학물질 통계조사 결과 비교  구분  '20년  '18년  증감량  (%)  업체수(개소)  37,107  30,954  6,153  (19.9)  화학물질(종)  31,600  29,499  2,101  (7.1)  유통량*(백만톤)  686.8  638.2  48.6  (7.6)  제조량  461.3  426.4  34.9  (8.2)  수입량  350.6  332.1  18.6  (5.6)  수출량  125.1  120.2  4.9  (4.1)  * 유통량(686.8백만톤) = [제조량(461.3) + 수입량 (350.6)] - 수출량(125.1)


지역별로는 대규모 석유정제 및 화학업종이 입지한 전남(29.6%), 울산(24.4%), 충남(18.8%) 등 상위 3개 지역에서 전체 제조·수입량의 72.8%인 5억 9,089만 톤을 차지했다.


지역별 제조·수입 현황  (단위 : 백만톤)  순위  시도  '20년도  '18년도  증감량   제조·수입량 (%)  제조·수입량 (%)  계  811.9  (100.0)  758.4  (100.0)     53.5  1  전남  240.5  (29.6)  212.9  (28.1)     27.6  2  울산  197.8  (24.4)  207.1  (27.3)  △9.3  3  충남  152.6  (18.8)  125.5  (16.5)     27.1  4  경북  65.3  (8.0)  38.7  (5.1)     26.7  5  인천  34.1  (4.2)  46.5  (6.1)  △12.4  6  강원  31.9  (3.9)  36.9  (4.9)  △4.9  7  서울  27.8  (3.4)  16.8  (2.2)     11.0  8  경기  27.4  (3.4)  19.9  (2.6)      7.6  9  충북  14.8  (1.8)  20.3  (2.7)  △5.5  10  경남  10.1  (1.2)  21.9  (2.9)  △11.8  11  전북  5.6  (0.7)  6.7  (0.9)  △1.1  12  부산  2.4  (0.3)  3.0  (0.4)  △0.6  13  제주  0.5  (0.1)  0.5  (0.1)  0.03  14  대전  0.4  (0.1)  0.5  (0.1)  △0.02  15  광주  0.4  (0.0)  0.2  (0.0)  0.2  16  대구  0.2  (0.0)  0.9  (0.1)  △0.6  17  세종  0.1  (0.0)  0.4  (0.1)  △0.4


산단별로는 여수 산단(19.5%), 울산·미포 산단(13.7%), 온산 산단(10.4%), 광양(9.1%), 대산(8.6%) 순으로 제조·수입량 상위 순위를 차지했다.


산업단지별 제조·수입 현황  (단위 : 백만톤)  순위  산단  '20년도  '18년도  증감량  제조·수입량 (%)  제조·수입량 (%)  계  811.9  (100.0)  758.4  (100.0)  53.5  1  여수국가산단  158.7  (19.5)  158.0  (20.8)  0.8  2  울산ㆍ미포국가산단  111.0  (13.7)  136.2  (18.0)  △25.2  3  온산국가산단  84.6  (10.4)  69.0  (9.1)  15.6  4  광양국가산단(광양제철)  74.2  (9.1)  47.8  (6.3)  26.4  5  대산일반산단  70.2  (8.6)  49.1  (6.5)  21.0  6  포항국가산단(포항제철)  56.3  (6.9)  30.3  (4.0)  26.0  7  현대제철(구 송산)일반산단  10.6  (1.3)  19.3  (2.5)  △8.7  8  아산국가산단(원정지구)  10.1  (1.2)  12.4  (1.6)  △2.3  9  안정국가산단  6.9  (0.8)  8.0  (1.0)  △1.1  10  북평국가산단(북평)  6.1  (0.8)  6.5  (0.9)  △0.4  11  당진1철강일반산단  4.5  (0.6)  -   (0.0)  4.5  12  호산일반산단  3.3  (0.4)  4.9  (0.6)  △1.6  13  포항국가산단(포항철강2연관)  3.0  (0.4)  2.6  (0.3)  0.4  14  군산일반산단  2.3  (0.3)  2.7  (0.4)  △0.5  15  아산디스플레이시티2  (구 탕정2)일반산단  2.2  (0.3)  0.1  (0.0)  2.2  16  고정국가산단  2.1  (0.3)  0.4  (0.1)  1.7  17  광양국가산단(광양연관)  2.0  (0.2)  3.5  (0.5)  △1.5  18  장당일반산단  2.0  (0.2)  0.0  (0.0)  2.0  19  아산국가산단(고대지구)  1.6  (0.2)  2.7  (0.4)  △1.1  20  아산디스플레이시티1  (구 탕정컴플렉스)일반산단  1.2  (0.2)  0.1  (0.0)  1.1    기타 산업단지  25.1  (3.1)  21.2  (2.8)  3.9    해당없음  173.9  (21.4)  183.8  (24.2)  △9.9


업종별로는 코크스·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이 전체 제조·수입량의 38.8%를 차지했고, 다음으로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27.6%), 1차 금속 제조업(19.6%)의 비중이 높았다.


업종별 제조·수입 현황  (단위 : 백만톤)  순위  업종 (중분류)  '20년도  '18년도  증감량  제조·수입량 (%)  제조·수입량 (%)  계  811.9  (100.0)  758.4  (100.0)  53.5  1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314.7  (38.8)  305.5  (40.3)  9.3  2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의약품 제외  224.3  (27.6)  191.6  (25.3)  32.6  3  1차 금속 제조업  158.8  (19.6)  118.8  (15.7)  40.0  4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49.5  (6.1)  66.0  (8.7)  △16.5  5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43.8  (5.4)  56.0  (7.4)  △12.3  6  도매 및 상품중개업  10.6  (1.3)  8.9  (1.2)  1.7  7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1.8  (0.2)  0.2  (0.0)  1.7  8  창고 및 운송관련 서비스업  1.7  (0.2)  1.6  (0.2)  0.0  9  고무제품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1.6  (0.2)  1.1  (0.1)  0.5  10  비금속광물 광업;연료용 제외  1.2  (0.1)  1.3  (0.2)  △0.1  11  그 외 업종('18년 59개/'20년 62개)  4.0  (0.5)  7.4  (1.0)  △3.4  ※ 업종분류 근거 : 「통계법」 제22조에 따른


유해화학물질(1,413여종)의 제조·수입량은 전체 제조·수입량의 9.8%인 7,936만 톤으로 2018년 대비 2.8% 증가했다.


상위 10위 유해화학물질 제조·수입 현황  (단위 : 천톤)  순위  화학물질명(CAS No)  '20년도  '18년도  증감량  제조·수입량 (%)  제조·수입량 (%)  총 계  79,357  (100.0)  77,196  (100.0)  2,161  소 계 (10개 물질)  50,738  (63.9)  50,484  (65.4)  254  1  벤젠(71-43-2)  9,932  (12.5)  10,650  (13.8)  △718  2  p-자일렌(106-42-3)   9,447  (11.9)  11,599  (15.0)  △2,152  3  톨루엔(108-88-3)  6,166  (7.8)  6,212  (8.0)  △46  4  황산(7664-93-9)  5,290  (6.7)  5,443  (7.1)  △153  5  메틸알코올(메탄올)(67-56-1)  4,318  (5.4)  2,150  (2.8)  2,168  6  스타이렌(100-42-5)  4,227  (5.3)  4,111  (5.3)  117  7  1,3-부타디엔(106-99-0)  3,093  (3.9)  2,616  (3.4)  478  8  수산화나트륨(1310-73-2)  3,076  (3.9)  2,882  (3.7)  194  9  자일렌(1330-20-7)  2,685  (3.4)  2,252  (2.9)  432  10  1,2-디클로로에탄염화수소(107-06-2)  2,505  (3.2)  2,571  (3.3)  △66    기타 (1,403종)  28,619  (36.1)  26,712  (34.6)  1,907


발암성물질은 총 307종, 4,196만 톤으로 전체 제조·수입량의 5.2%를 차지하며 2018년 대비 7.9%가 감소했다.


상위 10위 발암성물질(Group 1, 2A, 2B) 제조·수입 현황  (단위 : 천톤)  순위  발암물질명(등급)  '20년도  '18년도  증감량  제조·수입량 (%)  제조·수입량 (%)  계  41,963  (100.0)  45,558  (100.0)  △3,595  1  벤젠(71-43-2)  1  9,932  (23.7)  10,650  (23.4)  △718  2  스타이렌(100-42-5)  2A  4,227  (10.1)  4,111  (9.0)  117  3  1,3-부타디엔(106-99-0)  1  3,093  (7.4)  2,616  (5.7)  478  4  에틸벤젠(100-41-4)  2B  2,750  (6.6)  2,773  (6.1)  △24  5  1,2-이염화에탄(107-06-2)  2B  2,505  (6.0)  2,571  (5.6)  △66  6  쿠멘(98-82-8)  2B  1,873  (4.5)  1,987  (4.4)  △114  7  염화비닐(75-01-4)  1  1,735  (4.1)  1,638  (3.6)  97  8  아크릴로나이트릴(107-13-1)  2B  935  (2.2)  920  (2.0)  15  9  산화에틸렌(75-21-8)  1  909  (2.2)  724  (1.6)  185  10  니트로벤젠(98-95-3)  2B  573  (1.4)  541  (1.2)  32  -  기타('18년 226종 / '20년 297종)  -  13,431  (32.0)  17,029  (37.4)  △3,597


사고대비물질은 97종 중 89종, 4,340만 톤이 취급되었으며 2018년 대비 4.2%가 증가했다.


상위 10위 사고대비물질 제조·수입 현황  (단위 : 천톤)  구분  '20년도  '18년도  증감량  제조·수입량 (%)  제조·수입량 (%)  총 합계(89종*)  43,395  (100.0)  41,653  (100.0)  1,742  1  벤젠(71-43-2)  9,932  (22.9)  10,650  (25.6)  △718  2  톨루엔(108-88-3)  6,166  (14.2)  6,212  (14.9)  △46  3  황산(7664-93-9)  5,290  (12.2)  5,443  (13.1)  △153  4  메탄올(67-56-1)  4,318  (9.9)  2,150  (5.2)  2,168  5  염소(7782-50-5)  2,114  (4.9)  2,046  (4.9)  67  6  염화비닐(75-01-4)  1,735  (4.0)  1,638  (3.9)  97  7  질산(7697-37-2)  1,545  (3.6)  1,558  (3.7)  △13  8  페놀(108-95-2)  1,531  (3.5)  1,561  (3.7)  △30  9  염화수소(7647-01-0)  1,406  (3.2)  1,687  (4.1)  △281  10  암모니아(7664-41-7)  1,332  (3.1)  1,420  (3.4  △89  -  기타 (79종)  8,026  (18.5)  7,289  (17.5)  737  * 사고대비물질 97종 중 '20년도 제조수입량 물질 수는 89종


이번 화학물질 통계조사 결과는 화학물질안전원 '화학물질종합정보시스템 누리집(icis.me.go.kr)'에서 보다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신건일 환경부 화학물질정책과장은 "2018년 대비 화학물질의 제조, 수입, 유통량이 증가한 만큼 국민건강 보호를 위해 화학물질의 유통 및 안전관리를 더욱 강화하겠다"라며,


"이번 화학물질 통계조사 결과를 화학사고 예방과 대응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며, 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화학물질 관련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정책 마련 등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붙임  1. 화학물질 통계조사 개요.

        2. 연도별·형태별 유통 현황.

        3. 제조·수입·수출 현황.

        4. 질의응답.

        5. 전문용어 설명.  끝.


담당 부서  환경부  책임자  과  장  신건일   (044-201-6770)  총괄  화학물질정책과  담당자  사무관  전상인   (044-201-6785)  협업  화학물질안전원  책임자  과  장  윤준헌   (043-830-4210)  사고예방심사1과  담당자  연구관  김정곤  (043-830-4241)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