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부메뉴 바로가기
본문내용 바로가기
하단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검색
ENGLISH
이동통신누리집
환경부 유투브 채널 이동
환경부 인스타그램 이동
환경부 페이스북 채널 이동
환경부 트위터 채널 이동
환경부 블로그 채널 이동
정보공개
정보공개
공개·비공개정보
정보공개제도안내
정보목록
사전정보공표
행정정보공개
재정정보공개
정책실명제
먹는물영업자 위반현황
환경영향평가
공공데이터개방
개방현황
개방신청
담당자 안내
감사·청렴마당
감사결과공개
감사·청렴활동 관련 규정
반부패 청렴 플랫폼
부패행위자 현황공개
적극행정
제도소개
적극행정 국민추천
소극행정신고
적극행정자료실
적극행정 우수공무원
적극행정위원회 활동
적극행정 모니터링단 활동
정보공개시스템
바로가기
공공데이터포털
바로가기
국민소통
환경공익신고함
환경신문고
환경민원포털
안전신고
밀렵·밀거래신고
습지보호지역 위반행위 신고 포상제도
예산낭비신고
보조금 부조리 신고센터
질병에 걸린 야생동물 신고 제도
공직비리(부패)신고
공공분야 갑질피해 익명신고
공익신고
민원신청
일반민원(질의응답)
자주하는 질문
서식민원
서식자료
국민참여
장관과의 대화
국민제안
설문조사
정책토론
전자공청회
정부포상 추천대상자 공개검증
환경정책 공모
규제개혁
110화상·수화·채팅상담
국민신문고
바로가기
규제개혁신문고
바로가기
규제혁신추진단
바로가기
법령·정책
환경법령
현행법령
최근 제·개정법령
입법예고
행정예고
고시·훈령·예규
환경정책
전체
환경정책일반
환경보건
기후대기
물환경관리
상하수도
자연보전
자원순환
수자원
기타
국가법령정보센터
바로가기
발행물
환경 간행물
전체검색
환경통계연감
환경백서
대기환경월보
폐기물통계
상수도통계
하수도통계
수질통계
환경책자
알기쉬운 소책자
주제별
연도별
환경동화
환경 웹진
케미스토리
바로가기
국가환경교육 통합플랫폼
바로가기
환경부 소식지 신청
바로가기
알림·홍보
뉴스·공지
공지·공고
보도·설명
채용공고
인사동정
입찰안내
홍보자료
영상자료
그림자료
디지털 도서관
바로가기
기관소개
기관소개
환경부 장관
인사말
장관 소개
차관 소개
일반현황
연혁
상징(MI)
안내
조직 안내
업무 안내
층별 안내
찾아오시는 길
전체보기
자주찾는 메뉴
메뉴 선택 후 저장 버튼을 눌러주세요(최대 6개 지정)
마이메뉴 닫기
정보공개
정보공개
공공데이터개방
감사·청렴마당
적극행정
국민소통
환경공익신고함
민원신청
국민참여
규제개혁
110화상·수화·채팅상담
법령·정책
환경법령
환경정책
발행물
환경 간행물
환경책자
환경동화
환경 웹진
알림·홍보
뉴스·공지
홍보자료
기관소개
일반현황
인사말
장관 소개
차관 소개
안내
알림·홍보
알림·홍보
뉴스·공지
공지·공고
보도·설명
채용공고
인사동정
입찰안내
홍보자료
영상자료
그림자료
홍보동영상
환경부
>
알림·홍보
>
홍보자료
>
영상자료
sns공유하기
공유하기
페이스북에 공유하기
트위터에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에 공유하기
블로그에 공유하기
주소복사
인쇄
맨위로
환경부
>
알림·홍보
>
홍보자료
>
영상자료
>
홍보동영상
검색
sns공유하기
공유하기
페이스북에 공유하기
트위터에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에 공유하기
블로그에 공유하기
주소복사
인쇄
맨위로
게시물 조회
투명 페트병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니 (투명 페트병 재활용 - 분리배출)
등록자명
환경부
조회수
9,890
등록일자
2021-05-06
자막
여성1: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페트병이 일년에 무려 30만톤 이상이라는거, 알아? 여성2: 정말? 여성1: 어마어마하지? 그 중 80%이상이 재활용되지만 고품질원료로 재활용 되는 건 10%뿐. 그 이유는 잘못된 분리배출 습관. 하지만 투명페트병 분리배출을 잘 지킨다면, 모두 고품질자원으로 쓸 수 있다는 사실! 여성2: 우와! 지금 우리가 쓰는 투명 페트병을 제대로 재활용만하면 이게 다 가능하다고? 여성1: 그러니까 유색과 투명 페트병을 잘 분리해서 배출하는 것도 중요하다는 거지. 지금 부터, 투명 페트병의 무한한 가능성에 대한 이야기를 시작합니다. 여성1: 페트병 제조, 페트병은 다른 플라스틱보다 탄산가스나 산소차단성이 높아 물과 음료수병으로 많이 사용한대. 여성2: 아~~ 페트병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여성1: 쌀알처럼 생긴 페트수지를 녹여서 시험관과 비슷하게 생긴 프리폼을 만든 후에, 페트병 모양틀에 넣어 가열하고, 풍선처럼 공기를 후 불면 짜잔, 페트병 완성! 완성된 페트병은 생수, 음료, 세제류 등등 우리 생활 속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어. 하지만,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사용량을 봐봐. 그러니까, 가장 재활용이 쉽고, 상품가치가 높은 투명 페트병을 잘 재활용 해야겠지? 올바른 분리배출 방법, 페트병의 오염도에 따라 상품가치가 달라지니, 올바른 분리배출 습관이 중요해. 잘봐, 비우고, 헹구고, 라벨떼고, 찌끄러트린 후 뚜껑을 닫아서 전용 수거함에 쏙~ 유색 페트병은 플라스틱 수거함에. 어때 올바른 분리배출 방법, 생각보다 간단하지? 2020년 12월 25일부터 투명페트병 별도 분리배출 제도가 실시되었으니 꼭 기억해. 페트병 재활용. 수거된 투명페트병은 품목별로 구분하는 선별사로 이동하지. 그곳에서 혹시 모를 유색 페트병, 이물질 등을 선별한 후, 운송과 보관이 쉽게 육면체 모양으로 압축. 그렇게 분류된 투명페트병들은 재활용사로 가서, 다시 압출을 해제한 후, 날카로운 갈고리로 분리배출이 잘 되지 않아 남아있는 라벨들을 찢어서 제거하고, 원통형태의 통이 돌아가면서 뚜껑등 이물질을 또 한 번 제거해내고, 금속류는 자석으로 제거하고, 혹시 섞여있을지 모르는 유색페트병을 한 번 더 골라내는 작업도 필요해. 이렇게 분류된 투명페트병을 파쇄한 후, 2~10회에 걸친 비중선별로 라벨 등 이물질 제거, 여기서 한 가지. 가벼운 플라스틱 뚜껑은 물에 뜨는 반면, 물보다 비중이 높은 페트병 몸체 조각은 가라앉게 되지. 이때, 페트병 만큼 무거운 라벨지, 이물질도 함께 가라앉는 답니다. 세척. 탈수, 행굼, 건조를 반복. 다시 풍력기를 이용해 섞여있는 라벨을 제거. 이렇게 라벨제거를 꼼꼼히 체크하는 이유는, 라벨의 잉크 등이 재활용을 방해하거나 상품 가치를 떨어트리기 때문이야. 공정을 마친 페트병 재생원료를 색상별로 포장해 재생섬유 생산공장으로 이동. 페트병 재생섬유는, 긴실, 장 섬유와 짧은 실, 단 섬유로 나눠져서, 장섬유로는 보통 옷을 만들고. 단섬유로는 인형등의 충전재를 만들지. 여기서 잠깐! 장섬유로 만든 티셔츠의 경우 500ml페트병 약 30개가 쓰이지. 1데니아의 경우 1g의 원료로 약 9km의 실을 뽑을 수 있어. 긴실일 수록 고품질 제품을 만들지만, 이물질로 실이 끊기면 어려워져. 그래서, 올바른 분리배출 실천이 중요! 복잡한 공정을 더 간단하게 하고, 고품질 재품을 더 많이 만들 수 있으니까. 어때? 작지만 위대한 투명 페트병의 무한한 이야기. 올바른 분리배출. 다 쓰고, 다시 쓰고. 우리의 작은 실천으로 지속가능한 자원, 지속가능한 세상을 만들어갑니다. 환경부, 한국순환자원 유통지원센터
이전글
희망으로 가는 길, 수소 (KBS 다큐 On - 수소사회로 가는길)
다음글
푸른하늘을 지키기 위한 4년간의 노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