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전체보기

자주찾는 메뉴메뉴   선택   후   저장   버튼을   눌러주세요(최대   6개   지정)

  • 정보공개
  • 국민소통
  • 법령·정책
  • 발행물
  • 알림·홍보
  • 기관소개

보도·설명

  • 홈으로
게시물 조회
2001년 4월 대기오염도
  • 등록자명
    안세창
  • 부서명
    대기정책과
  • 조회수
    8,289
  • 등록일자
    2001-07-02
  - 전년 동월보다 이산화질소, 미세먼지 월 평균 오염도 증가
아황산가스(SO2), 일산화탄소(CO)는 전년 동월과 비슷한 추세를 보
이고 있으나, 이산화질소(NO2)와 미세먼지(PM10), 오존(O3)의 경우 월
평균오염도 및 단기환경기준 초과횟수가 증가
이산화질소의 경우 서울과 수도권 일부지역에서 높은 농도를 나타
내었으며, 단기환경기준 초과도 서울, 인천, 경기지역에서 1시간환경
기준을 14회, 24시간환경기준을 46회 초과하여 전년동월(각 1회)보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세먼지는 24시간 환경기준을 245회(전년동월 168회)초과 하였
고, 오존은 1시간환경기준을 21회, 8시간환경기준을 431회 초과하여
전년동월(1시간 2회, 8시간 52회)보다 증가하였다.
이와같은 현상은 전국적인 가뭄현상으로 전년동월보다 강수량 및
강우일수가 적고, 평균풍속이 낮아져 대기가 안정되는 등의 기상요인

- 이산화질소의 경우 '98년부터 소형경유자동차의 급속한 증가
('98년대비 2000년에 44.3%증가)에 의한 배출가스 영향이 다소 기여하
였을 것으로 추정되며
- 미세먼지의 경우 황사 발생일이 6~9일로 전년동월(4~6일)보다
증가된 것과  미세먼지 측정소수가 전년동월보다 45%(44개소)정도 증
가한데 기인된 것으로 판단됨
- 오존의 경우 남부지방의 기온상승과 금년 1월부터 8시간평균
값 통계처리방법을 고정평균방법에서 이동평균방법으로 변경하여 8시
간환경기준초과횟수가 49%(431회중 212회)정도 증가되었음
오염물질별 대기오염실태
아황산가스의 도시별 월평균 농도분포는 0.004∼0.016ppm으로 모
든 도시가 연간 환경기준(0.020ppm) 이내로 나타났으며,
- 금년 1월부터 강화된 환경기준적용에 따라 24시간환경기준
(0.05ppm)을 여수에서 3회 초과하였음
이산화질소의 도시별 월 평균 농도분포는 0.010∼0.048ppm으로 도
시별 월 평균농도 차이가 다소 크게 나타났으며, 수도권 및 대도시지
역의 월 평균오염도가 전년 동월보다 대부분 증가하였음
- 서울지역 이산화질소 오염도는 금년 1월(0.041ppm)부터 지속적
인 증가추세를 보여 금월에는 0.048ppm으로 전국도시 중 최고치를 보
였으며, 단기환경기준초과도 60회 중 52회가 서울시에서 나타났음
- 이와 같은 현상은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전반적으로 풍속이 낮
고, 안개 및 박무일수(2월의 경우 28일중 21일)가 많아 오염물질의 확
산이 원활하지 못한 날이 많고, 4월에는 강수량이 적은 등의 기상요인
에 기인된 바가 크며,
- '98년(IMF)이후 휘발유차의 증가는 둔화되고 LPG차와 소형 경유
차가 급속히 증가하여 휘발유 사용량은 감소한 반면 LPG 및 경유의 사
용량이 증가하여 이산화질소 증가에 다소 기여하였을 것으로 추정됨
※ 승용차기준 NOx 배출량은 휘발유차가 0.12g/㎞, LPG차가
0.16g/㎞이며, 소형경유차는 0.87g/㎞임('97~2000년도 자동차 인증시
험자료 평균)
오존의 월 평균 농도는 0.029ppm으로 전년 동월(0.027ppm)에 비해
다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산, 광주 등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오존오염도가 증가
일산화탄소의 도시별 월 평균 농도분포는 0.3∼1.7ppm이었으며, 월
평균농도는 0.8ppm으로 전년 동월(0.8ppm)과 비슷한 수준을 보임
미세먼지는 황사의 영향으로 대부분 높게 나타났으며, 유효측정지
점 123개소중 87개소에서 24시간 환경기준을 245회 초과하였음
- 도시별 월 평균 농도는 40∼127㎍/㎥으로 도시별 차이가 크게 나
타났으며, 서울과 수도권지역의 월 평균오염도가 전년 동월보다 대부
분 증가하였음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