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전체보기

자주찾는 메뉴메뉴   선택   후   저장   버튼을   눌러주세요(최대   6개   지정)

  • 정보공개
  • 국민소통
  • 법령·정책
  • 발행물
  • 알림·홍보
  • 기관소개

보도·설명

  • 홈으로
게시물 조회
2000년 9월 대기오염도
  • 등록자명
    김정호
  • 부서명
    대기정책과
  • 조회수
    7,888
  • 등록일자
    2000-12-07

환경부는 2000년 9월의 대기오염도를 분석한 결과 전월 및 전년동
월에 비해 오존(O₃), 미세먼지(PM10)의 단기환경기준 초과횟수는 감
소하였으나 월 평균오염도는 이산화질소(NO₂)와 함께 전월보다 다소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아황산가스(SO₂), 일산화탄소(CO)는 전월
및 전년동월과 비슷한 수준으로 환경기준 보다 매우 낮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 오존(O₃), 이산화질소(NO₂)를 제외한 다른 측정항목의 경우 모
든 측정소에서 단기환경기준을 달성하였으며 산업시설이 많이 위치한
울산시의 아황산가스(SO₂) 오염도가 0.013ppm으로 다른 도시(전국평
균 0.006ppm)보다 높게 나타났다.
- 단기환경기준 초과현황을 보면 오존의 경우 전국 138개 측정소중
1시간기준치를 8개소에서 13회(전월 27회, 전년동월 54회), 8시간 기
준치를 14개소에서 51회(전월 51회, 전년동월 45회)초과 하여 단기환
경기준 초과횟수는 감소하였으나 월 평균오염도는 0.020ppm(전월
0.018ppm)으로 다소 증가하였으며, 이산화질소는 24시간 환경기준을 2
개소에서 2회 초과하였다.
- 이와 같이 단기환경기준 초과횟수는 감소하였으나 오존 및 이산화
질소의 월 평균오염도가 다소 증가된 것은 일중 최고기온과 도시에 따
라 차이는 있으나 강우일수 및 강우량(서울의 경우 전월 16일
599.4㎜, 당월 12일 179㎜)이 전월에 비해 절반이상 감소한 것이 그
원인으로 파악된다.
도로변 대기질 오염도
- 서울 등 7개 대도시 15개 측정소에서 이산화질소를 제외한 아황산
가스 등 다른 측정항목은 단기환경기준을 달성하였으며,
- 이산화질소의 경우 서울 3개소에서 단기환경기준(1시간치
150ppb, 24시간치 80ppb)을 각 3회 초과하여 전월 (1시간치 2개소, 24
시간치 각 3개소)과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배경 대기질(장거리이동측정소)오염도
- 전반적인 오염도는 도시지역에 비하여 매우 낮은 편이나 오존의
경우 지역적인 배경농도 상승현상으로 도시지역 월평균(11∼40ppb)보
다는 높은수준(39∼55ppb)을 나타내고 있으며, 1시간기준치초과는 울
릉군 태하동에서 3회, 강화군 석모리에서 11회 초과하였고 8시간기준
치를 제주 고산리 6회, 울릉군 태하동 26회, 태안군 파도리 24회, 강
화군 석모리에서 9회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도시의 강우산도
- 광역시 이상 도시의 강우산도(pH)는 4.7∼6.1의 수준으로서 대
전, 울산의 산도가 각각 4.7, 4.8로 다소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으며
전반적으로 전월(4.8∼5.8)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붙임 : 2000년 9월 주요도시 대기오염도 비교.  끝.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