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전체보기

자주찾는 메뉴메뉴   선택   후   저장   버튼을   눌러주세요(최대   6개   지정)

  • 정보공개
  • 국민소통
  • 법령·정책
  • 발행물
  • 알림·홍보
  • 기관소개

카드뉴스

  • 홈으로
게시물 조회
탄소중립 백과사전 제2탄(왜 '2050 탄소중립'일까요? 편)
  • 부서명
    신기후체제대응팀
  • 등록자명
    박민선
  • 등록일자
    2021-10-13
  • 조회수
    7,517

탄소중립 백과사전(왜 '2050 탄소중립'일까요? 편)
'21년 8월에 공개된 'IPCC 6차 제1실무그룹 보고서'에 따르면 '19년 12월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는 410ppm입니다.
이는 산업화 이전 대비 약 42% 증가한 것이며 지난 200만 년 기간 중 전례 없이 높은 농도입니다.
산업화 이전, 산업화 이후 CO2 약 42% 증가
이와 같은 인위적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는 방출되는 지구복사에너지를 대기 중에 더욱 가두고 지구 평균 온도 상승을 가속화하게 됩니다.
편균 온도가 상승한 전 지구에는 폭염, 가뭄, 홍수, 폭설, 한파, 태풍 등 이상기후 현상이 더 강하고 자주 발생하면서 인명피해나 경제적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분야: 고유 생태계 및 인간계
지구온난화 1.5℃: 높은 위험
지구온난화 2℃: 매우 높은 위험
분야: 중위도 폭염일 온도
지구온난화 1.5℃: 3℃ 상승4℃ 상승
지구온난화 2℃: 4℃ 상승
분야: 고위도 극한일 온도
지구온난화 1.5℃: 4.5℃ 상승
지구온난화 2℃: 6℃ 상승
분야: 기후영향 빈곤 취약 인구
지구온난화 1.5℃, 지구온난화 2℃: 2℃ 온난화에서 2050년까지 최대 수 억 명 증가
분야: 육상생태계
지구온난화 1.5℃: 중간 위험
지구온난화 2℃: 높은 위험
분야: 서식지 절반 이상 감소 비율 - 곤충
지구온난화 1.5℃: 6%
지구온난화 2℃: 18%
분야: 서식지 절반 이상 감소 비율 - 식물
지구온난화 1.5℃: 8%
지구온난화 2℃: 16%
분야: 서식지 절반 이상 감소 비율 - 척추동물
지구온난화 1.5℃: 4%
지구온난화 2℃: 8%
분야: 대규모 특이현상
지구온난화 1.5℃: 중간 위험
지구온난화 2℃: 높은 위험
분야: 북극 해빙 완전 소멸빈도
지구온난화 1.5℃: 100년에 한번(복원 가능)
지구온난화 2℃: 10년에 한번(복원 어려움)
이산화탄소의 대기 중 체류시간은 5~200년에 이르는 만큼, 지금 당장 인위적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인다고 하더라도 지구 평균 온도는 당분간 올라갈 것으로 예측됩니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해 국제사회는 2020년부터 전 세계 탄소 배출 상승 추세를 감소세로 전환하고, 2030년 인위적 탄소 순배출량을 2010년 대비 최소 45%로 감축하고, 2050년에는 탄소 순배출량을 0으로 만들기로 목표를 설정하고 함께 노력하고 있습니다.
더 늦기전에, 지구를 위한 행동 2050 탄소중립.
QR코드, 탄소중립을 위한 생활 속 실천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안내서를 통해 확인해보세요!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