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전체보기

자주찾는 메뉴메뉴   선택   후   저장   버튼을   눌러주세요(최대   6개   지정)

  • 정보공개
  • 국민소통
  • 법령·정책
  • 발행물
  • 알림·홍보
  • 기관소개

카드뉴스

  • 홈으로
게시물 조회
4대강 보 개방 모니터링 궁금증을 풀어드립니다
  • 부서명
    기획총괄팀
  • 등록자명
    구미라
  • 등록일자
    2021-04-27
  • 조회수
    1,568

4대강 보 개방 모니터링 궁금증을 풀어드립니다.
Q. 1 왜 보를 개방해서 모니터링을 하는 건가요?
4대강 사업 이후 깊어지고 느려진 강에서 녹조와 수생태계 문제가 심각해졌습니다.
(녹조현상, 성층화에 따른 빈산소 현상*, 퇴적물 오염)
* 빈산소 현상은 용존산소가 2㎎/L 이하인 상태로, 용존산소가 부족하면 저서성 수생생물과 수생태계 전반에 악영향을 끼침
환경부는 4대강 자연성 회복을 위해 '17.6월부터 보를 개방하고 모니터링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Q. 2 보를 개방하여 주로 무엇을 관측하나요?
물리적 환경, 수질, 수생태계 등 14개 분야를 관측하고 있습니다.
물리적 환경- 유속·체류시간, - 모래톱·수변공간 변화와 같은 경관
수질-녹조(유해남조류), 저층 빈산소, 퇴적물 등, - 유기물(BOD, COD), 영양물질(T-N, T-P)등
생태계-하천의 서식공간 변화, -수생태계(어류, 저서동물), 육상생태계(물새류, 양서·파충류 등)
※ 국립환경과학원, 국립생물자원관, 한국수자원공사 등 분야별 8개 전문기관이 참여하고 있습니다.
Q. 3 보 개방 후 무엇이 달라졌나요?
보 개방 후 녹조 및 저층 빈산소가 줄었고, 퇴적물 내 모래비율이 증가하는 등 물환경 지표가 개선된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보 개방 전후 여름청(6~9월) 평균 녹조(유해남조류세포수, cells/mL) 발생 비교>
금강('13~17년 평균 4,800cells/mL → '19년 263cells/mL)
영산강('13~17년 평균 4,693cells/mL → '19년 163cells/mL)
<저층 빈산소 현상 발생 횟수('15~'20)>
승촌보(개방전('15~'17) 19 → 개방후('18~'20) 4)
합천창녕보(개방전('15~'17) 10 → 개방후('18~'20) 1)
Q. 3 보 개방 후 무엇이 달라졌나요?
또한 모래톤, 수변공간 등 생물서식처가 다양하게 형성되면서 여러 멸종위기종들이 지속적으로 관측되고 있습니다.
- 흰수마자('20.5월, 공주보)
- 황새('20.12월, 죽산보)
- 흑두루미('20.11월, 창녕함안보)
Q. 4 보를 개방하여 BOD가 악화되었다는 주장이 사실인가요?
보의 위치, 오염물질 유입량 등 환경조건이 보 별로 다릅니다.
또한 보 개방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도 지표별로 다릅니다.
보를 개방하면 유속이 빨라지고, 수심이 얕아지면서 녹조, 저층 빈산소, 퇴적물 오염도는 개선됩니다.
<공주보 개방 전·후 퇴적물 />
보 개방 전 2016년 진흙처럼 흙이 뭉쳐있다., 보 개방 후 2020년 상반기 물에 젖은 모래톱
Q. 4 보를 개방하여 BOD가 악화되었다는 주장이 사실인가요?
유기물(BOD 등), 영양물질(T-P 등) 등은 보 개방보다 강수량, 외부 오염물질 유입 등의 영향을 더 크게 받아 시기별로 증감 경향이 다릅니다.
즉, 보를 개방하여 BOD가 악화된 것은 아닙니다.
보를 개방하여 3년 반 동안 관측한 결과 우리강의 자연성 회복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보 개방을 확대하고 과학적인 모니터링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2020년 하반기 기준 4대강 보 개방·관측(모니터링) 종합분석 보고서 전문은 물환경정보시스템(water.nier.go.kr)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