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내용 바로가기
  • home
  • 기관소개
  • 청장소개
  • 연설문/서한
연설문/서한
게시물 조회
  • [칼럼]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는 생명공동체를 만들자[대구신문 02.1.29]
    • 등록자명 : 관리자
    • 조회수 : 3,364
    • 등록일자 : 2002.01.29
    • 담당부서 : 관리자
  • 자연환경은 대기, 물, 토양 등의 무기환경과 동물, 식물 등의 생명체로 구성되며, 이들은 서로 끊임없이 물질순환을 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을 분리하면 전체로서의 기능 및 구성요소로서의 기능을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무기환경과 생물을 묶어서 하나의 총체적인 체계(system)로 파악하는데 이를 생태계(ecosystem)라고 한다.
    이러한 살아있는 생태계는 우리의 삶의 터전을 만들고 기후를 조절하고, 오염물질을 흡수․분해․동화시키며, 지구와 지구에 살고 있는 모든 생명체를 존재하게 하고 진화하면서 발전하게 된다.
    산과 강 같은 자연은 생물의 터전이기에 생태계를 포용하는 집이 될 뿐 아니라, 태고부터 긴 시간을 관조해 보면 움직이는 생태계의 한 부분이다. 그러므로 산과 강이 오염되고 훼손되면 생태계가 파괴되고 우리 인류도 결국 살 수 없게 된다. 이렇게 파괴된 자연환경은 복원이 거의 불가능하고 설령 복원이 된다 하더라도 엄청난 노력과 시간과 재원이 소요된다.

    야생동물은 인간과 같이 먹이사슬의 한 구성요소로서 자연생태계의 균형과 유지를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많은 야생동물들이 서식하게 되면 건전한 먹이사슬이 회복되고 경제적․문화적․정서적으로도 풍요로운 생활을 누릴 수 있게 될 것이다.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생물로서 현재까지 조사․기재된 동물은 18,029종, 식물은 8,271종 등 총29,828종(전세계 약 1,435,700종)으로 삼면   이 바다로 둘러싸인 반도이기 때문에 지구상의 다른 지역과 비교하여 면적․규모로 보아 다양한 편이나, 현재 우리나라의 생태계는 집약적인 인간활동에 의한 교란으로 생태계의 구조가 매우 불안정하며, 개발로 인한 국토의 생태적 파편화가 가속화되고 있고 야생동․식물의 무분별한 남획과 밀렵으로 인해 생물다양성이 급격히 단순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생물다양성이 단순화되고 멸종위기종(현재 멸종위기 야생동․식물 43종, 보호야생동․식물 151종)이 늘어가는 것은 생태계가 파괴되고 그만큼 우리의 제반 환경의 질(質)이 악화되고 있다는 증거이다.
    특히, 야생동물의 밀렵은 광범위한 지역에서 멸종위기종, 천연기념물을 가리지 않고 무차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밀렵방법도 올무, 덫, 공기총에 의한 도구뿐만 아니라 독극물에 의한 방법 등 다양하다. 현재 전국에서 활동중인 전문밀렵꾼은 줄잡아 2만 여명. 단속을 피해 몰래 잡는 짜릿함을 맛보기 위해 밀렵을 하는 사람도 있지만 돈벌이가 되기 때문에 밀렵을 하는 사람이 대부분이다.
    밀렵이 성행하는 이유는 판로가 확보돼 있기 때문이고, 이는 보신용, 박제용, 동물원 전시용 등으로 꾸준히 팔린다. 밀렵이 이처럼 극성을 부리는 이유는 우리나라의 잘못된 보신문화에서 찾을 수 있다.

    야생동물의 밀렵은 자연에 대한 도살행위이며 밀렵꾼은 바로 자연의 도살자 이다. 자연이 도살되어 우리에게 친근했던 우리 고유의 생물종이 하나 둘씩 사라져 간다면  언젠가는 생태계의 일원인 우리 인간도 사라질 날이 올 것이다.

    생태계를 파괴하는 것은 우리 모두의 삶의 터전을 파괴하는 것이다. 한 포기의 풀, 한 마리의 새도 생명을 지니고 있으며, 이들 생물종이 생명력을 제대로 지켜갈 수 있을 때 비로소 우리 인간도 생명력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땅의 모든 것들은 우리 모두의 소중한 자산일 뿐만 아니라 후손들의 것이기도 하다.
    우리는 아름다운 경관의 숲과 맑은 물, 그리고 그 속에서 새가 지저귀고 동물들이 뛰어 다니는 것을 보고 정서적인 안정감을 느낀다.
    산과 강 등 우리의 자연이 자연생태계로서의 의미를 가지려면 그 속에서 야생동․식물들이 함께 어우러져 조화가 이루어 져야 하며 그러할 때 모든 사람들이 자연을 즐길 수 있으며 생태적으로도 더욱 건전해 질 수 있는 것이다.
    더구나 야생동․식물은 현대에 와서 유전자원으로서의 역할이 매우 중요시 되고 있다. 미래산업의 대부분은 유전자원에 의한, Eco-system에 의한 발전이 이루어 질 것이 자명하며, 따라서 국제간 생물주권을 인정하는 생물주권시대가 곧 도래할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야생동․식물이 감소하고 사라져 가는 다양한 원인들에 대한 대책을 시급히 마련하여 이들을 철저히 보호해야 하고 무분별하게 남획하고 밀렵하는 것을 근절시켜야 하며, 우리의 최종목표인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는 생명공동체를 이루기 위해 우리 모두 힘을 다해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대구지방환경관리청장 한기선>

  • 첨부파일
  • 목록
  • 이전글
    [칼럼]쓰레기와 자원{'02.2.19]
    다음글
    [신년사]대구경북녹색연합 창립총회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

  •   
  •   
  •   
  •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