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내용 바로가기
  • home
  • 알림마당
  • 보도·해명자료
  • 전체
전체
게시물 조회
  • [세계0322]"이제는 환경친화적 댐 시대"
    • 등록자명 :
    • 조회수 : 1,593
    • 등록일자 : 2004.03.21
  • 유엔이 `물 부족 국가''로 선정한 우리나라는 오는 2011년이면 12억t의 물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럼에도 우리나라는 해마다 되풀이되는 집중호우, 태풍 등으로 최근 10년 동안연평균 129명이 목숨을 잃거나 실종되고 재산피해도 1조2천999억원에 달했을 정도로물로 인해 나타나는 피해도 엄청난 실정이다.

    물 부족 사태와 재해를 예방하려면 댐을 건설해 강우가 집중되는 장마철에 물을가뒀다가 갈수기 때 사용하는 것이 최선의 대안이라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지금까지 여러차례 댐 건설을 추진해 왔지만 지역주민과 환경단체 등의 환경보전 요구에 부딪혀 큰 어려움을 겪어왔다.

    환경단체 등은 `댐은 더 이상 대안이 될 수 없다''는 주장을 편다.

    땅값과 보상비 등 댐 건설비가 급증하고 있는데다 환경파괴로 인한 사회적 비용을 감안할 때 댐 건설로 물 공급을 늘리겠다는 방식은 경제성이 없다는 것이다.

    또 댐 개발 등 `공급'' 중심의 정책 대신 절수기기 사용, 노후관 개량, 댐 연계운영 등 `관리'' 위주의 정책으로 전환할 것도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연 강수량(1천283㎜)의 70% 이상이 여름철(6-9월)에 집중되는 기후 특성과 국토의 65%가 산악인 지리적 특성상 댐을 비롯한 저류시설이 불가피하다는 게 한국의 현실이다.

    이에 따라 `개발''과 `보전''의 갈등을 비껴가는 대안으로 `환경친화적인 중소형댐''이 급부상하고 있다.

    실제로 정부는 2011년까지 전국에 12개 중.소 규모의 댐을 건설, 물부족 사태와홍수에 대처키로 한 상태다.

    즉, 댐 설계와 시공단계에서부터 자연생태계 및 지역 특성을 감안하고 지역사회의 요구에도 귀를 기울여 지역사회로부터 환영받는 시설이 될 수 있도록 한다는 복안이다.

    대표적인 환경친화적인 댐 건설 사례인 용담댐(2001년 완공)의 경우 사토장 등유휴지(11만8천㎡)에 자생 수종 중심으로 나무를 심어 식생을 복원하고 기존 연못을활용한 자연생태 관찰원을 조성하는 등 생태 공간을 복원했다.

    특히 자연생태 관찰원에는 깊이 1.5m 안팎의 얕은 저수지를 조성, 습지식물 등의 서식지로 활용하고 생태관찰원으로 흘러들어오는 물도 갈대, 부들 등 식생을 활용한 생태적 기법을 도입했다.

    탐진댐의 경우도 야적장과 가설비 터(11만㎡)에 자연형 물길과 생태연못 등을조성하고 생태연못에는 수몰지에서 생육하는 수생식물을 이식하는 등 자연학습공간으로 활용하고 있다.

    안동댐 휴식공간도 자연에 대한 올바른 지식을 전달하는 학습장으로 시민들의사랑을 받고 있다. 댐 유휴지에서 솟아나는 물을 활용, 생태연못 등 생물서식공간(Biotope)을 조성하는 등 공간별.계절별로 흥미를 일으킬 수 있도록 자연복원시스템을철저하게 도입했다.

    보령댐의 경우는 댐 본체 비탈면 하부(2만4천467㎡)를 본래 지형과 유사한 자연구릉으로 만들었을 뿐만 아니라 수몰지내 자생 수목을 이식해 자연과 어우러지게 꾸몄다.

    생태계의 연결 고리를 고려한 댐 시공도 도입되고 있다.

    횡성댐은 댐으로 진입하는 도로 때문에 다람쥐, 산개구리, 구렁이 등 야생동물들의 이동통로가 차단되자 댐진입도로 아래에 생태통로를 설치, 동물들이 자유롭게이동할 수 있도록 했다.

    낙동강 하구둑에는 연어, 은어, 뱀장어 등 회유성 물고기의 이동을 위한 어도(魚道)가 설치돼 생태계 연결을 배려하고 있다.

    특히 지금까지는 다목적댐 등 큰 댐에는 어도가 설치되지 않았으나 새로 건설을추진중인 한탄강댐 등에 처음으로 어도 설치가 추진중이다.

    수자원공사 관계자는 "현재 우리나라의 물수급 사정을 감안할 때 안정적인 수자원 확보를 위해서는 생태계와 사회.문화적 여건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식으로중.소규모 댐의 개발이 뒤따라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댐 건설로 인해 훼손될 수 있는 자연환경을 보전하기위해 해당 지역의 자연생태계에 대한 보전과 복원을 병행하고 댐 건설후에도 자연 생태와 지역사회 요구에 대한 모니터링을 지속한다는 방침"이라고 말했다. <연합>
  • 목록
  • 이전글
    [경북0322]“물을 아끼고, 살리며, 사랑하자”
    다음글
    [세계0322]포항 기청산식물원, 서식지외보전기관 지정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

  •   
  •   
  •   
  •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