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내용 바로가기
  • home
  • 알림마당
  • 보도·해명자료
  • 전체
전체
게시물 조회
  • 금강유역환경청 "소옥천 녹조 다량발생 방지대책" 발표
    • 등록자명 : 상수원관리과
    • 조회수 : 6,622
    • 등록일자 : 2006.09.13
  •  

    보도자료

    ‘06. 9. 13.(수) 석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0  6.   9.    1  3     배포

    □ 사진: 1매

    □ 총 3쪽

    담당부서

     금강유역환경청 상수원관리과

    담 당 자

     신봉우 과장/ 김판규 담당

    연 락 처

     042-8 6 5-0 7 8 1 /  p a n k g u @ m e . g o . k r

    금강유역환경청 "소옥천 녹조 다량발생 방지대책" 발표

     

    ◇ 하수관거정비, 환경기초시설 설치비 등 우선 지원

    ◇ 다단계 조류 차단막 설치, 오ㆍ폐수 배출시설 등 집중 점검

    □ 금강유역환경청은 대청호 상류 소옥천 유입지점(옥천군 군북면 지오리, 추소리 부근)에서 해마다 조류가 다량으로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근본대책 마련을 위해 옥천군, 수자원공사, 금강물환경연구소 등 관계기관이 참석한 가운데 ’06. 9. 13.(수) 대책회의를 개최하였다.

      ○ 이는 이 수역에서 과다 번식한 조류가 덩어리 져 떠다니면서 불쾌감을 주고, 조류의 부패취가 주민에게 많은 불편을 끼치고 있음에 따라, 보다 적극적인 대책 마련을 위해 취해진 조치이다.

      ○ 한편, 며칠 전 언론에 보도된 동 수역의 분뇨 취기는 과다 번식한 남조류(마이크로씨스티스)가 사멸기에 들어 분해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패취라고 밝혔다. 

    □ 이 수역에서 해마다 조류가 대량 발생하여 번식하는 것은 하천과 호수가 만나는 만곡형 정체수역이어서 부영양화 취약지역인데다, 소옥천의 유량에 비해 축산폐수와 오ㆍ폐수배출시설이 다수 분포하기 때문이라 하였다.

      ○ 또한, 옥천하수처리장에 시설용량(18,000㎥/일)을 초과하는 하수가 유입되어, 초과한 하수가 처리되지 않고 방류되고 있고, 소옥천 상류지역인 금산군 추부면에 아직 하수처리장이 갖춰지지 않은 것도 한 원인이라고 하였다. 

    □ 이 날 마련된 대책을 보면, 금강청은 우선 옥천 하수처리장의 불명수 유입 차단을 위해 합류식 하수관로를 100% 분류식으로 교체하는 것으로 하수관거 정비사업계획을 변경할 것을 옥천군에 요구하고 국비 우선지원을 약속하였다.

      ○ 그와 아울러 하수처리장에 인 처리를 위한 화학적처리공법을 도입하는 것에 대해서도 전문가 기술진단과 국비를 적극 지원키로 하였다.

      ○ 이에, 옥천군은 당초 합류식 관로 50%만 분류식으로 교체할 계획이었으나 도시 외 지역까지 100% 교체하는 것을 적극 검토하기로 하였으며, 군북면 추소리 부근에 수초재배섬도 설치키로 하였다.

      ○ 수자원공사 대청댐관리단도 군북면 지오리부터 추소리까지 일정 거리마다 조류확산 방지막을 설치하고, 조류를 수거할 수 있는 펌핑시설 등을 설치하여 수시로 제거하기로 하였다.

      ○ 한편, 금강환경감시단은 지자체와 합동으로 소옥천 유역의 오ㆍ폐수 및 축산폐수 배출시설에 대해 집중점검을 실시하며. 계도 위주로 점검하되 무단방류 등 불법처리에 대해서는 엄중히 책임을 물을 예정이다. 

    □ 소준섭 금강유역환경청장은 "소옥천 유역의 조류를 원천적으로 예방하고 제어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회의를 개최하고 추진실적을 점검하여 실질적인 효과가 나타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 목록
  • 이전글
    KBS 보도사항에 대한 해명자료입니다
    다음글
    대청호 전 수역 “조류 주의보” 발령 상태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

  •   
  •   
  •   
  •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