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내용 바로가기
  • home
  • 알림마당
  • 공지·공고
  • 전체
전체
게시물 조회
  • 질소 · 인 관리의 필요성
    • 등록자명 : 운영자
    • 조회수 : 8,125
    • 등록일자 : 2001.07.31
  • 현재, 산업화와 인구의 증가로 배출되는 하·폐수의 특성이 다양해져서 효율적인 처리에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미처리된 오염물질이 하천이나 호소를 비롯한 기타 수원에 유입됨에 따라 효율적 수질관리에 많은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특히, 질소, 인과 같은 영양염류는 부영양화를 유발시키는 주 원인물질로서 관리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수중에서 질소는 요소와 아미노산과 같은 유기질(organic nitrogen), 암모니아성 질소(ammonia/ammonium), 아질산성 질소(nitrite) 및 질산성 질소(nitrate)의 상태로 존재하며, 인은 단백질, ATP 등과 같은 유기인(organic phosphate), 인산염(phosphate)의 형태로 존재한다.
    질소·인은 주로 농업용 비료, 사람이나 가축의 분뇨, 합성세제로 부터 발생되며, 더욱이 미처리된 하수 또는 공장폐수에 의해 강이나 댐을 포함한 호소로 다량 유입될 경우 부영양화, 연안의 적조현상, 암모니아의 어류독소, 수중의 용존산소결핍 등을 야기시키며, 상수중의 암모니아는 염소요구량을 증가시키고, 질산성 질소는 음용수 중에 높은 농도로 존재하는 경우 건강에 위해를 미치기도 한다.
    또한 질소·인 등의 상수원 유입으로 인한 조류의 과잉성장은 정수장에 다음과 같은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첫째, 조류의 과다 번식으로 발생하는 대사물질인Geosmin과 2-MIB(2-Methylisoborneol)등은 수돗물에서의 맛과 냄새 등의 불쾌감을 일으킨다. 둘째, 정수공정인 모래여과지의 막힘현상을 유발하여 여과지의 운전시간을 단축시킨다.
    수계로의 질소·인 유입은 정수비용의 증가에 따른 경제적인 손실발생, 공중보건상 안전하고 깨끗한 수자원확보의 어려움 등의 문제를 유발시키며, 따라서 수계로의 영양염류 유입을 근원적으로 차단하는 것이 가장 근원적인 해결책이므로 하·폐수 및 축산폐수에서 유기물의 제거와 더불어 질소·인의 처리가 더욱 강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 목록
  • 이전글
    환경부 인사발령
    다음글
    환경부 전입 희망 지방직 공무원 모집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

  •   
  •   
  •   
  •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