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내용 바로가기
  • home
  • 알림마당
  • 보도·해명자료
  • 보도자료
보도자료
게시물 조회
  • 춘천 근화 쓰레기매립지 침출수 유출
    • 등록자명 : 김보래
    • 조회수 : 5,734
    • 등록일자 : 2005.03.23
  • <긴급진단>춘천 근화 쓰레기매립지 침출수 유출
    [연합뉴스 2005-03-21 10:31]
    춘천 근화 쓰레기매립지 침출수 유출


    수도권 상수원 위협..대책마련 시급

     

    (춘천=연합뉴스) 이재현 기자 = 춘천 근화동 비위생 매립지 침출수가 팔당 상수원인 북한강 수계 의암호로 흘러들어 수질오염을 가중시키는 등 한강수계 수질 오염 우려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한강유역환경청의 `사용종료매립지 개선방안 조사연구\' 결과에 따르면 근 매립가 팔당상류 한강수계 내 102개 사용 종료 매립지 중 경기 여주 사곡매립지와 함께 한강 수계에 미치는 수질오염 위험도(78점)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근화매립지 침출수 중 암모니아성 질소(NH3-N)의 농도는 우수기의 경우 805.0 ㎎/ℓ로 침출수 배출허용기준(일반 지역 100㎎/ℓ)을 8배 이상 초과했고 COD는 368.0 ㎎/ℓ로 기준치를 2배 가량 초과했다.

    또 각종 오염원과 아연(Zn) 등 일부 중금속이 지하수를 통해 인근 의암호로 유입.검출되는 등 매립장 침출수가 의암호 수질에 적지않은 악영향을 끼치며 수도권 상수원을 위협하고 있다.

     

    ◆오염실태 = 춘천 근화동 쓰레기매립지는 지난 97년 북한강 수계인 의암호에서 불과 20~30m 떨어진 지점에 조성됐다.

    당시 춘천시는 혈동리 광역쓰레기 매립장 건설을 앞두고 차수벽 등 완전한 시설을 갖추지 않고 임시방편으로 37만7천여㎡ 부지에 3m 높이로 26만5천t 가량의 쓰레기를 가적치 후 매립했다.

    최근 연구조사 결과 매립지 집수정 내 침출수의 수위가 인근 의암호 수위에 따라 변동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매립지 차수막이 제구실을 하지 못한 채 침출수가 그대로 지하수를 거쳐 의암호로 흘러들어 지하수 및 수질오염을 가중하고 있다는 반증인 셈이다.

    실제로 매립지 인근 의암호 수질 측정결과 pH, COD, SS 등의 농도는 `호소 수질환경기준 상수원수 2등급\'인 의암호 수질 기준치를 초과했으며 중금속인 아연(Zn)도 매립지 상.하류에서 각각 0.05㎎/ℓ과 0.02㎎/ℓ이 검출됐다.

    특히 매립지 침출수 성분인 암모니아성 질소(NH3-N), 염소이온(Cl-)농도 등은 매립지 상류 의암호에 비해 매립지 하류에서 크게 증가한 것으로 조사돼 침출수로 인한 수질오염이 가중됐다는 분석이다.

    이밖에 매립장 집수정 침출수에서 쓰레기 매립 후 발생하는 발암물질로 알려진 벤젠, 톨루엔, 에틸벤젠 등 휘발성 유기화합물질(VOC)도 검출, 생활쓰레기 뿐만 아니라 다량의 사업장쓰레기도 매립된 것으로 나타났다.

     

    ◆사후관리 허점 = 수도권 상수원인 북한강 수계 의암호 인근에 위치한 춘천 근화 매립장은 위치적으로 한강수계 수질환경에 미치는 중요성에도 불구 침출수 차수시설 설치 및 관리에 많은 허점을 드러내고 있다.

    침출수 집수정 위치의 경우 매립지 가장자리에 있어 효과적인 침출수 차수에 한계가 있으며 차수막 시설이 제 역할을 다하지 못해 침출수가 지하수로 새나가는 것에 대한 대책은 사실상 전혀 없는 상태다.

    또 매립지 조성 후 침출수 처리 등의 현황이 없어 침출수 적정처리 여부조차 확인 할 수 없는 등 관리가 부실하다.

    청정환경연구소 이용진 소장은 \"의암호 변에 다량의 쓰레기를 가적치 상태로 매립 후 9년째 방치, 침출수가 수도권의 젖줄인 팔당 상수원의 본류로 직 유입되고 있다는 것은 심각한 문제\"라며 \"이 같은 점을 수차례 지적했으나 행정당국의 조치는 전혀 없었다\"고 주장했다.

     

    ◆전문가 진단.대책 = 이번 연구조사 책임자 한양대 배우근 교수는 \"근화 매립지는 위치, 침출수 농도, 하천수질 측정 등의 조사결과 수도권 상수원에 직.간접적인 악영향을 끼치고 있어 최우선 정비대상 매립지로 분류했다\"며 \"매립 쓰레기 이적, 차수시설 대폭 정비 등 현실적 방안을 검토해 하루 빨리 정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한림정보대 김정대 교수(폐기물처리 전공)는 \"근화 매립지는 아직도 쓰레기 분해가 진행 중인 만큼 안정화됐다고 볼 수 없다\"며 \"매립지 지하수 굴착 조사 등 정밀 오염도 조사를 거쳐 그에 따른 대책 수립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 첨부파일
  • 목록
  • 이전글
    유해화학물질 저감…기업이 ‘챙겨요’
    다음글
    개발사업 가능 여부, 미리알수 있다.(사전환경성검토 맞춤 안내제)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

  •   
  •   
  •   
  •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