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내용 바로가기
  • home
  • 정보마당
  • 사이버환경교실
  • 생태계
생태계

생태계란?

자연생태계는 대기, 물, 토양 등의 무기환경과 동물, 식물 등의 생명체로 구성되며, 이들은 서로 끊임없이 물질순환을 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을 분리하면 전체로서의 기능 및 구성요소로서의 기능을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무기환경과 생물을 묶어서 하나의 총체적인 체계(system)로 파악하는데 이를 생태계(ecosystem)라고 한다. 이러한 생태계의 복잡한 메카니즘에 의해 기후가 조절되고, 오염물질이 흡수·분해·동화되며, 인간의 의식주에 필요한 물질과 공간을 확보하게 된다. 자연은 이렇듯 공익적 기능 외에도 복잡한 사회구조 속에서 거칠어지기 쉬운 인간의 정서를 순화시키는 숨은 역할을 하고 있다.

자연생태계는 일단 파괴되면 복원이 거의 불가능하며, 복원이 된다하더라도 오랜 시간이 소요되고 많은 경제적 부담이 따르기 때문에 사전에 그 대책을 수립하여 보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구나 우리나라와 같이 국토가 협소한 상태에서 인구밀도가 높고 자연자원이 빈약한 나라일수록 자연환경 보전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된다.

소득증대와 더불어 국민의 욕구는 단순한 환경오염의 제거로부터 자연환경의 보전 및 쾌적한 삶의 추구쪽으로 옮겨지고 있기 때문에 자연생태계의 보전, 야생동·식물 보호, 자연경관의 보호 등을 대상영역으로 하는 자연환경의 보전은 최근 들어 더욱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우리나라 자연식생은 다양하다. 북부지방은 아고산침엽수림이 발달해있고, 북부와 중부의 일부지역에는 침·활엽 혼합림이 많으며, 우리나라 자연산림의 식생을 대표하는 낙엽활엽수림은 중부지역에 분포되어 있다. 또한 남부지방과 동·서해안지방은 상록활엽수림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화강암과 화강편마암이 노출된 산비탈 계곡부에는 서어나무림이, 최남단지역 및 남부 도서지역에는 난온대 상록수림이 발달해 있다.

우리나라 전체 산림면적 64,413㎦의 0.1%인 67㎦(2천만평)가 매년 도로, 산업단지 개발 등으로 감소되어 야생조수의 서식지가 훼손 또는 단절되고 있으며, 전국의 갯벌면적 2,393㎦의 3.1%인 73.6㎦(2천2백만평)가 매년 농지, 신도시, 산업단지 개발 등으로 감소되어 철새 서식공간이 줄어들고 있다.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생물상은 다양한 편이나 척추동물과 현화식물을 제외하고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현재까지 조사·기재된 동물은 18,052종이고 식물은 8,271종이며, 미생물 등 기타 생물이 3,528종으로 총 29,851종이다. 이 가운데 척추동물의 경우 1,463종이며 어류가 905종, 양서류· 파충류 41종, 조류가 417종, 포유동물이 100종이고 곤충은 11,853종이다. 그 외에 균류가 1,625종, 원생생물이 736종, 원핵생물이 1,167종이다. 참고로 지구상의 생물종은 약 1,435,700종이며, 이 가운데 동물은 1,089,300종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밝혀진 생물종 수

총 29,851종 : 동물 18,052종, 식물 8,271종, 균류·원생생물 등 3,528종

우리나라에서 밝혀진 생물종 수
대분류 소분류군 종 수
동물
18,052
척추동물
1,463
포유류 100
어 류 905
양서ㆍ파충류 41
조 류 417
무척추동물
3,564
해면 204 자포 224
편형 123 윤형 159
구두 1 내항 1
태형 145 완족 9
성구 9 연체 997
환형 380 완보 49
절지 1,028 모악 39
극피 107 미색 89
무척추동물
13,025
곤충 11,853
거미 1,172
식물
8,271
고등식물
4,662
단자엽식물 842
쌍자엽식물 2,815
양치ㆍ나자식물 314
선태류 691
하등식물
3,609
규조류 1,512
편모조류 316
담수녹조류 1,064
윤조류 27
해조류 690
균류
(지의류포함)
3,528 1,625
원생생물 736
원핵생물 1,167
총 29,851종

야생동ㆍ식물 지정현황

야생동ㆍ식물 지정현황
구 분 근거법 지정기준 지정현황 ('98)
멸종위기 및
보호야생동ㆍ식물
자연환경보전법
제2조 제6호,
제7호
국내생물종중 개체수가 현저히 감소되어 멸종위기에 처할 우려가 있거나 보호가치 및 학술적 가치가 높은 야생동ㆍ식물 총계 : 194종
- 멸종위기 야생동ㆍ식물 : 43종
- 보호야생동ㆍ식물 : 151종
국제적
멸종위기종
자연환경보전법
제2조제8호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ㆍ식물의 국제 거래에 관한 협약(CITES)에 의하여 국제거래가 규제되는 종 총계 : 401종
- 부속서 Ⅰ : 228종
- 부속서 Ⅱ : 146종
- 부속서 Ⅲ : 27종
※ 고래목, 양서, 파충류, 곤충,
    수산생물, 식물
생태계위해
외래동ㆍ식물
자연환경보전법
제2조제18호
국내 자연생태계 균형유지에 위해를 가져올 우려가 있는 종 - 황소개구리, 블루길, 돼지풀,
   단풍잎돼지풀, 큰입배스
   ('98지정)
- 붉은귀거북('01지정)
- 서양등골나무, 도깨비가지,
   물참새피, 털물참새피
   ('02지정)
  • 멸종위기 야생동식물 현황(총43종)
    • 포유류(10종)

      붉은박쥐, 늑대, 여우, 표범, 호랑이, 수달, 바다사자, 반달가슴곰, 사향노루, 산양

    • 조 류(13종)

      노랑부리백로, 황새, 노랑부리저어새, 저어새, 흑고니, 흰꼬리수리, 참수리, 검독수리, 매, 두루미, 넓적부리도요, 청다리도요사촌, 크낙새

    • 양서·파충류(1종)

      구렁이

    • 어류(5종)

      감돌고기, 희수마자, 미호종개, 꼬치동자개, 퉁사리

    • 곤충류(5종)

      장수하늘소, 두점박이사슴벌레, 수염풍뎅이, 상제나비, 산굴뚝나비

    • 무척추동물(3종)

      나팔고둥, 귀이빨대칭이, 두드럭조개

    • 식 물(6종)

      한란, 나도풍란, 광릉요강꽃, 매화마름, 섬개야광나무, 돌매화나무


  • 보호야생동식물 현황 (총151종)
    • 포유류(7종)

      삵, 담비, 물개, 큰바다사자, 물범, 물범류, 하늘다람쥐

    • 조 류(46종)

      아비, 쇠가마우지, 알락해오라기, 큰덤불해오라기, 흑기러기, 큰기러기, 개리, 큰고니, 고니, 가창오리, 호사비오리, 물수리, 벌매, 솔개, 참매, 조롱이, 털발말똥가리, 큰말똥가리, 말똥가리, 항라머리검독수리, 흰죽지수리, 독수리, 잿빛개구리매, 알락개구리매, 개구리매, 새홀리기, 쇠황조롱이, 비둘기조롱이, 흑두루미, 재두루미, 뜸부기, 느시, 검은머리물떼새, 흰목물떼새, 알락꼬리마도요, 검은머리갈매기, 적호갈매기, 뿔쇠오리, 수리부엉이, 긴점박이올빼미, 올빼미, 가막딱따구리, 아물쇠딱따구리, 팔색조, 뿔종다리, 삼광조

    • 양서·파충류(4종)

      맹꽁이, 금개구리, 남생이, 까치살모사

    • 어류(7종)

      다묵장어, 묵납자루, 모래주사, 두우쟁이, 부안종개, 꺽저기, 좀수수치

    • 곤충류(14종)

      꼬마잠자리, 고려집게벌레, 닻무늬길앞잡이, 물장군, 주홍길앞잡이, 멋조롱박딱정벌레, 소똥구리, 비단벌레, 울도하늘소, 큰자색호랑꽃무지, 깊은산부전나비, 쌍꼬리부전나비, 왕은점표범나비, 붉은점모시나비

    • 무척추동물(21종)

      별혹산호, 측맵시산호, 망상맵시산호, 둔한진총산호, 착생깃산호, 갓산호, 흰수지맨드라미, 밤수지맨드라미, 연수지맨드라미, 자색수지맨드라미, 검붉은수지맨드라미, 유착나무돌산호, 잔가지나무돌산호, 진홍나팔돌산호, 해송, 장수삿갓조개, 대추귀고둥, 기수갈고둥, 긴꼬리투구새우, 선침거미볼가사리, 의염통성게

    • 식 물(52종)

      솔잎란, 물부추, 파초일엽, 고란초, 섬천남성, 솔나리, 자주솜대, 큰연령초, 진노랑상사화, 노랑무늬붓꽃, 대청부채, 털개불알꽃, 으름난초, 백운란, 천마, 대흥란, 죽백란, 지네발란, 풍란, 삼백초, 죽절초, 개가시나무, 순채, 연잎꿩의다리, 세뿔투구꽃, 산작약, 깽깽이풀, 한계령풀, 고추냉이, 끈끈이귀개, 둥근잎꿩의비름, 개병풍, 나도승마, 히어리, 개느삼, 만년콩, 애기등, 황기, 갯대추, 망개나무, 황근, 왕제비꽃, 가시오갈피나무, 섬시호, 노랑만병초, 홍월귤, 기생꽃, 박달목서, 미선나무, 섬현삼, 무주나무, 솜다리

생태계보전지역 지정현황 (22개소, 247,762㎢)

생태계보전지역 지정현황 (22개소, 247,762㎢)
지역명 위치 면적(㎢) 특징 지정일자
환경부 지정 : 8개소, 139.76㎢
낙동강하구 부산 사하구 신평, 장림, 다대동
일원 해면 및 강서구 명지동 하단 해면
34.20 철새도래지 1989. 3.10
지리산 전남 구례군 산동면 심원계곡 및 토지면 피아골 일원 20.20 극상원시림
(구상나무 등)
1989.12.29
대암산 강원 인제군 서화면 대암산의 큰용늪과 작은용늪 일원 1.06 우리나라 유일의 고층습원 1989.12.29
우포늪 경남 창녕군 대합면, 이방면, 유어면, 대지면 일원 8.54 우리나라 最古의 원시자연늪 1997. 7.26
무제치늪 울산 울주군 삼동면 조일리 일원 0.18 희귀야생동·식물이
서식하는 산지습지
1998.12.31
섬진강
수달서식지
전남 구례군 문척면, 간전면,
토지면 일원
1083 멸종위기동물인 수달의서식지 2001.12. 1
고산봉
붉은박쥐서식지
전남 함평군 대동면 일원 8.78 멸종위기동물인 붉은박쥐의 서식지 2002. 5. 1
동강유역 강원 영월군 영월읍, 정선군 정선·신동읍, 평창군 미탄면 일원 64.97 지형·경관 우수
희귀야생동·식물 서식
2002. 8. 9
해양수산부 지정 : 4개소, 70.373㎢
신두리사구
해역
충남 태안군 원북면 신두리 일원 0.639 다양한 식생과 특이한 지형 2002.10. 9
문섬 등
주변해역
제주 서귀포시 강정동, 법환동, 서귀동, 토평동, 보목도 일원 13.684 국내 유일의 산호군락지 다양한 해조류 군락 존재 2002.11. 5
오륙도 및
주변해역
부산 남구 용호2동 936~941번지 및 주변 해역 0.35 기암괴석의 무인도서 및 수직암반 생물상 보호 2003.12.31
대이작도
주변해역
인천 옹진군 이작리 및 승봉리 일원 해역 55.7 뛰어난 자연경관 및 수산생물과 저서생물 주요 서식지 2003.12.31
시·도지사 지정 : 10개소, 37.629
대덕산· 금대봉 강원도 태백시, 삼척군, 정선군 4.20 희귀야생동·식물 집단 서식지 1993. 4.26
광양백운산 전남 광양군 옥룡면, 진상면,
다압면
9.74 자연경관수려 및 원시자연림 1993. 4.26
조종천상류
명지산·청계산
경기 가평군, 포천군 21.84 희귀 곤충상 및 식물상이 다양하고 풍부한 지역 1993. 9. 1
거제시
고란초서식지
경남 거제시 하청면 덕곡리 산 144-3 0.002 고란초 집단자생지 1995.10. 2
한강밤섬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84-4
및 마포구 당인동 314
0.241 철새도래지, 서식지 1999. 8.10
둔촌동 자연습지 서울 강동구 둔촌동 211 0.025 도시지역의 자연습지 2000. 3. 6
2002.12. 5
방이동습지 서울 송파구 방이동 439-2 0.056 도시지역의 습지 2002. 4.15
탄천 서울 송파구 가락동 및 강남구 수서동 1.405 도심속의 철새도래지 2002. 4.15
진관내동 습지 서울 은평구 진관내동 78번지
일대
0.017 도시지역의 자연습지 2002.12.30
암사동습지 서울 강동구 624-1 일대 0.103 도시지역의 하천습지 2002.12.30

습지보호지역 지정현황

12개 지역 185.21㎢

습지보호지역 지정현황
지역명 위치 면적(㎢) 특징 지정일자
환경부 지정 : 8개소, 44.79㎢
낙동강하구 부산 사하구 신평, 장림, 다대동 일원 해면 및 강서구 명지동 하단 해면 34.20 철새도래지 1999. 8. 9
대암산 강원 인제군 서화면 대암산의 큰용늪과 작은용늪 일원 1.06 우리나라 유일의 고층습원 1999. 8. 9
(1997. 3
람사등록)
우포늪 경남 창녕군 대합면, 이방면, 유어면, 대지면 일원 8.54 우리나라 最古의 원시자연늪 1999. 8. 9
(1998. 3
람사등록)
무제치늪 울산 울주군 삼동면 조일리 일원 0.184 희귀야생동·식물이 서식하는 산지습지 1999.8.9
화엄늪 경남 양산시 하북명 용연리 0.124 산지습지 2002.2.1
물영아리 오름 제주 남제주군 남원읍 0.309 기생화산구 2000.12.5
두웅습지 충남 태안군 원북면 신두리 0.065 신두리사구의 배후습지 희귀야생동식물 서식 2002. 11. 1
신불산 고산습지 경남 양산시 원동면 대리 산 92-2일원 0.308 희귀야생동식물이 서식하는 산지습지 2004.2.20
해양수산부 지정 : 5개소, 140.728㎢
무안갯벌 전남 무안군 해제면, 현경면 일대 35.59 생물다양성 풍부, 지질학적 보전가치 있음 2001.12.28
진도갯벌 전남 진도군 군내면 고군면 일원
(신동지역)
1.238 수려한 경관 및 생물다양성 풍부 철새도래지 2002.12.28
순천만갯벌 전남 순천시 별양면, 해룡면,
도사동 일대
28.0 흑두루미 서식·도래 및
수려한 자연경관
2003.12.31
보성벌교갯벌 전남 보성군 호동리, 장양리, 영등리, 장암리, 대포리 일대 7.5 자연성 우수 및 다양한
수산자원
2003.12.31
옹진장봉도갯벌 인천 옹진군 장봉리 일대 68.4 희귀철새 도래·서식 및
생물다양성 우수
2003.12.31

특정도서 지정 현황

155개 도서, 10.223㎢

특정도서지역 면적현황
구분 인천시 충청남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강화 옹진 보령 서산 태안 울릉 통영 남해 하동 고성 마산 거제 사천
도서수 8 18 7 3 4 1 7 9 9 4 1 5 4
면적(㎢) 278 1155 1204 114 151 181 546 354 151 86 28 157 43
특정도서지역이 속해있는 시/도의 정보와 특정도서지역의 면적
구분 부산시 전라북도 경상남도 제주도
군산 부안 진도 고흥 완도 해남 신안 여수 북제주
도서수 3 3 5 8 3 19 4 21 7 5 155
면적(㎢) 30 878 152 937 236 1218 105 1665 251 313 10.233
  • 1) 도서수는 무인도서 전체(2,679개)의 5.8%
  • 2) 면적은 무인도서 전체(85,281천㎡)의 12%

주요 철새 도래 지역

주요철새도래지역과 도래종
철새 도래 지역 주요 도래종
한강(도심구간) 청둥오리, 흰뺨검둥오리, 비오리, 흰죽지
한강·임진강하구 큰기러기, 개리, 청둥오리, 재두루미
강화도 남단
(여차리, 선두리해안)
두루미, 저어새, 민물도요, 왕눈물떼새, 흑꼬리도요
시화호 검은머리물떼새, 검은머리갈매기, 큰기러기, 재두루미
남양만 검은머리물떼새, 검은머리갈매기, 민물도요, 붉은어깨도요
철원 두루미, 재두루미, 독수리, 큰기러기, 청둥오리
청초호 재갈매기, 괭이갈매기, 세가락갈매기, 쇠오리
경포호 고니, 큰고니, 재갈매기, 괭이갈매기
아산만 청둥오리, 큰기러기, 알락꼬리마도요, 개꿩
대호 가창오리, 청둥오리, 고방오리, 고니, 큰고니
천수만 큰기러기, 청둥오리, 고니, 큰고니, 황새, 가창오리
대청호 흰뺨검둥오리, 청둥오리, 비오리, 호사비오리, 원앙
금강하구 고니, 큰고니, 개리, 큰기러기, 가창오리, 알락꼬리마도요
유부도 검은머리물떼새, 혹부리오리, 마도요, 민물도요
만경강하구 검은머리갈매기, 큰기러기, 붉은어깨도요, 큰뒷부리도요
영산호, 영암호, 금호호 황새, 노랑부리저어새, 가창오리, 큰기러기, 큰고니
고천암호 가창오리, 마도요, 검은머리갈매기, 큰기러기
동진강하구 청둥오리, 가창오리, 개꿩, 큰뒷부리도요, 검은머리갈매기
순천만 혹부리오리, 민물도요, 청둥오리, 흑두루미
우포늪 큰기러기, 큰고니, 청둥오리, 쇠오리, 알락오리
주남저수지 큰기러기, 흰죽지, 넓적부리, 고니, 노랑부리저어새
낙동강 청둥오리, 흰죽지, 고니, 큰고니, 혹부리오리, 솔개
성산 노랑부리저어새, 저어새, 청둥오리, 홍머리오리, 재갈매기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

  •   
  •   
  •   
  •   
확인